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蘘陽의 漢詩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蘘陽의 漢詩

    蘘陽의 漢詩 목록
      낙산에 절 지은 지 몇 천 년인가 洛山有寺幾千年 새로 지은 절이 바닷가에 섰네 棟年重新倚海天 문 열면 부상에서 해 뜨는 것이 보이고 開門扶桑先見日 선경과 이웃하여 신선도 만날듯 하네 地隣蓬島可枯仙 풍경소리 바람결에 갈매기 꿈을 깨고 風傳鐘聲驚鷗夢 성난 파도 법…
      바다 향해 난 서쪽 창에 햇빛이 붉은데 절문 동쪽에는 배꽃이 막 피었네 미인과 술자리 하면서 산 찾을 약속하니 아마 사월 중에 금강산 찾겠네 西海房櫳日射紅 梨花初發寺門東 靑蛾酒席尋山約 要邇金剛四月中 『江原道誌』 류영길(중종 33년, 1583년…
      낙산사(洛山寺)에서 판상 시에 차운하며 (洛山寺次板上韻) 도가 소멸과 성장 관여치 않으니 不關道消長 어찌 인간의 즐거움과 근심 알겠는가 何知人樂憂 또한 장차 나무로 활과 화살 만드는 뜻은 且將弧矢志 바다와 산에 의지하여 놀 것을 즐기려 하네 聊付海山遊 …
      가을바람에 풍악산과 이별하고 秋風別楓嶽 해질 무렵 상운정에 도착했네 斜日到祥雲 모래 위에 수많은 바위가 열을 지어있고 沙上千岩列 소나무 사이 길 하니 분명하네 松間一路分 요란한 우렛소리 바다 물결 일으켜 殷雷波捲海 선 근 수레와 같이 기러기가 무리 지었네 疎…
      거울같이 맑은 물결이 기상은 한가롭고 하조대는 저 멀리 아득하네 조용하고 드넓음 다 갖추어 우주의 훌륭한 경치 낙산이 으뜸이구나 鏡水長波氣像閑 河臺極目渺茫間 從容闊遠兼斯二 宇宙奇觀最洛山 『金剛山詩集』 下篇 남용익(인조 6년, 1628년~숙종 …
      넘실거리는 흰 물결에 산바람 흔들리고 등불 밝은 곳에 스님은 한가롭네 문 앞은 푸른 바다 뜰에는 밝은 달 천하의 기경 혼자서 보네 白浪飜天風撼山 佛燈明處寺僧閑 門前滄海庭前月 獨占奇觀天地間 『金剛山詩集』 下篇 조종저(인조 9년, 1631년~숙종…
      술에 취해 깊게 잠들어 새벽에도 깨지 못하네 스님이 다가와 아침 해 보라기에 은해는 창망한데 붉은 빛 물들었네 宿醉昏昏睡正濃 晨光侵戸尙瞳朧 居僧蹴我看朝日 銀海蒼茫萬里紅 『金剛山詩集』 下篇 양양부사 시절 밤늦게까지 술을 마시고 새벽에 깨지 못하…
      만발한 요황(모란)에 자하기운 가득하고百朶姚黃爛紫霞 현산 서쪽 밭두둑에 비로소 해가 기우네峴山西畔日初斜 그대 습지 떠나가지 마시게使君不向池習去 임천 호사가에 와서 취해 보세來醉林泉豪士家 『峴山誌』 양양은 예부터 모란이 많았다. 모란이 불게 물들어 화려하…
      의상대 앞은 가을 물결이 희고 이화정 가에 새벽안개는 붉다 수평성 물결 위에 아침 해 뜨니 갈매기 노래하며 하늘을 난다오 義湘臺前秋潳白 梨花亭上曉霞紅 俄頃日破層濤上 鷗鳥驚呼天海空 『金剛山詩集』 下篇 홍계적(숙종 6년, 1680년~경종 2년, …
      이화정 가 바다에 뜬 구름 동쪽에 있어 스스로 관세음보살의 오색 가운데 있네 떠오르는 달은 빛을 비추고 광한부(廣寒府-달의 궁전,월궁전) 신선의 풍악은 하늘 높이 부는 성난 바람일세 梨花亭畔海雲東 自在觀音五色中 浮出玉輪光照耀 廣寒仙樂落天風 『峴山誌…
      내가 와서 우거진 부상의 가지를 잡고 날아서 푸른 바다 지나니 세상이 어찌 알겠는가 밝은 밤 학은 화표(왕의 치적을 기록하는 나무)로 돌아가고 저녁이면 스님은 종 칠 때 정하네 오봉산이 가을이 깊어 피릿소리 자주 나고 대해는 많은 시를 짓게 하네 오래된 현산에…
      행렬이 날듯이 큰 언덕 지나가니 征袂翩然過大堤 종소리 이미 낙산사 서쪽에서 울리네 鍾聲己動洛伽西 소나무 숲에 쌓인 돌길은 멀고 松園石逕竹邊遠 바람에 실린 파도는 수평선 너머 나지막하다 天入風濤盡處低 이름난 경치 지팡이 잡고 다니며 절경에 빠져보고 地勝移笻綠絕壑 …
      금강산 일만 봉 다 둘러보고 領略金剛一萬峰 동쪽 큰 바다에는 저녁구름 짙었네 東臨大海暮雲濃 받들어야 할 문장과 글씨를 보니 감격스럽고 雙擎翰墨堪垂涕 어찌 사신(詞臣)을 이 곳에서 만날 줄이야 何況詞臣此地逢 『峴山誌』 여필용(1655 ~ ?) 자(字)는 …
      삼순 동안 다섯 가지 계율 지키기를 홀연히 잊고서 三旬特戒忽焉忘 상쾌한 봄바람에 술잔은 차네 快倒春風蒲蒲觴 고요하고 맑아 즐거움을 방해하지 않으니 不侵小光齊拍手 뒷사람 누가 양양을 지나간 것을 알리오 後人誰識過襄陽 『峴山誌』 오도일(인조 23년, 164…
      산과 물이 어울리는 경치를 겸비하기는 어렵다. 仁者와 智者인 재주로도 능통함을 갖출 수 없다. 비록 하나의 언덕과 골짜기, 물, 돌을 보고 듣기 오히려 어렵다. 하물며 강과 산이 크며 큰 바다와 명산이 어울려 아름다움을 갖추었다. 우리나라의 영동 팔경인 오직 뛰 어난 …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