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목록
      지금까지 고지도와 각종 문헌을 확인한 결과 소동라령은 박달령(연수파)과 조침령 사 이에 위치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부 고지도의 기록을 보면 양양부에서 소동라령까지의 거리를 60리라고 하고 있으나 이는 당시에는 거리를 측량하는 기술의 한계도 있지만 영의…
      1. 소동라령과 소어령, 북암령 2. 현지 실사를 통해서 본 소동라령
      그렇다면 지금까지 밝혀진 역사기록들을 바탕으로 소동라령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보고 자 한다. 남효온(南孝溫 1454~1492)의『유 금강산기』를 보면“(낙산사에서) 20리쯤 가서 양양 부(襄陽府) 앞의 냇가에 이르러 말을 쉬게 하였다. 또 10리를 가서 설악에 들어가 …
      『신증동국여지승람』 제45권 강원도(江原道) 간성군편에 보면 “미시파령(彌時坡嶺)은 고을 서남쪽 80리쯤에 있다. 길이 있으나 예전에는 폐지하고 다니지 않았는데 성종(成 宗) 24년에, 양양부 소동라령(所冬羅嶺)이 험하다 하여 다시 이 길을 열었다.”고 적고 있 고,『…
      1. 오색역의 역할 2. 소동라령과 오색역의 변화
      역(驛)은 역관(驛館)·역참(驛站)·우역(郵驛)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는데 찰방(察訪) 의 역무(驛務)는 주로 중앙과 지방관아 사이의 공문서를 전달하고 관수물자를 운송하며 사신 왕래에 따른 숙박 편의를 제공하는 한편 교통로 상의 지위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 하여 보고하…
      오색역(五色驛)의 설치 시기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1462년(세조 8) 역제(驛制)를 41 역도(驛道) 543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하는 과정에서 오색역(五色驛)은 상운도(祥雲道)를 구성하는 하나의 속역이 되었다. 오색역은 1493년(성종 24)에 원암역으로 이설되…
      고지도, 각종 문헌 등을 확인한 결과 과거의 소동라령, 오색령(한계령)은 일부의 주장 과 달리 모두 서로 다른 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동라령은 고지도, 고문헌, 경계의 기록, 하천의 수계, 양양부에서의 거리, 현지 답사 등을 종합한 결과 현재의 오색령이 아니…
      Ⅰ. 머리말 Ⅱ. 조침령의 고찰 Ⅲ. 조침령로의 변화 Ⅳ. 조침령로의 이용실태 Ⅴ. 맺는 말 조침령 전경
      과거에 양양군 서면 서림리에서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로 가는 조침령(鳥寢嶺)은 선질 꾼이나 마꾼의 바꾸미 길이었다. 그런데 418번 지방도가 개통되면서 옛 조침령은 주로 구룡령에서 출발하여 갈전곡봉(1,204m) ⇒ 조침령 ⇒ 북암령 ⇒ 단목령으로 이어지는 백두대간(白頭…
      1. 고문헌 속의 조침령 2. 조침령 이름에 대한 고찰
      숙종 때 홍주목사(洪州牧使)를 역임한 양와(養窩) 이세구(李世龜, 1646∼1700년)가 1691년 10월 3일 관동지방의 4개 군을 여행하면서 지은 기행문「동유록(東遊錄)」이『양 와집(養窩集)』에 실려 전하는데“조침령의 북쪽은 오색령이다. 그 동쪽은 양양(襄陽)이고 …
      한글 표기로는 문헌 모두‘조침령’이지만 한자 표기는 다양하다. 1691년 양와 이세구 (李世龜)의『양와집(養窩集)』「동유록(東遊錄)」에는 ‘조침령(曹砧嶺)’으로 되어있는데 “한 덩어리의 모탕 같은 영”이란 뜻이다. 즉 조(曹)는 덩어리나 무리를 뜻하며, 침(砧)은 모탕…
      1. 옛 조침영로 2. 군사도로 3. 418번 지방도
      조침령은 양양군 서면 서림리와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를 연결하는 고개로 주로 소금을 지고 넘나들었다고 한다. 조침령도 구룡령과 마찬가지로 지금의 길이 본래의 옛길이 아니다. 본래의 옛길은 지금의 조침령로보다 1.7㎞ 남서쪽에 위치한 쇠나드리 고개가 옛 조침령이었다. 이…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