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1. 고문헌 속의 조침령

    페이지 정보

    조회 27회

    본문

    숙종  때  홍주목사(洪州牧使)를  역임한  양와(養窩) 이세구(李世龜, 1646∼1700년)가 1691년 10월 3일 관동지방의 4개 군을 여행하면서 지은 기행문「동유록(東遊錄)」이『양 와집(養窩集)』에 실려 전하는데“조침령의 북쪽은 오색령이다. 그 동쪽은 양양(襄陽)이고 서쪽은 인제(獜蹄)이며 오색령 북쪽은 미시파령(미시령)을 이룬다.”라고 적었다. ‘조침(曹砧)’령이라는 명칭으로는 이 기록이 처음으로 확인되고 있다.

     

     

    z1.jpg

    〈그림 1〉『양와집』 12/13책「동유록」의 조침령 (자료:규장각한국학연구원)

     

     

    z2.jpg

    〈그림 2〉『여지도서』관애조의 조침령


    1757년(영조  33)에서  1765년(영조  41)에  전국  읍지를  모아  관찬(官撰)한『여지도서』 관애조(關阨條)에도  조침령(阻沉嶺)이라는  명칭  나오는데, 조침령은 “관아  서쪽  45리에 있으며 소동라령(북암령) 남쪽 줄기로서 기린현 경계에 접하고 있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1808년(순조  8)에  호조판서(戶曹判書) 서영보(徐榮輔)와  부제학(副提學) 심상규(沈象 奎)가 비국유사당상(備局有司堂上)으로 있으면서 왕명을 받들어 찬진(撰進)한 『만기요람 (萬機要覽)』에 “양양영로(襄陽嶺路)는  오색령·필여령. 기린(猉麟)통로는  소동라령·조침 령. 구룡령은 강릉과의 경계. 형제현(兄弟峴)·양한치(兩寒峙) 모두 서쪽 통로다.”라 기록 되어 있다.

     

     

    z3.jpg

    〈그림 3〉양한치(큰양한치, 작은양한치) 전경


    1822년 ∼ 1826년 에 편찬된『관동지(關東誌)』 관애조(關阨條)에도  조침 령(阻枕嶺)은“관아 서쪽 45리에 있으며 소동라령 (북암령) 남쪽  줄기로서 기린현   경계에   접하고 있다”라고  기록되어  있 다.

    1871년(고종  8)에  발 간된 『관동읍지(關東邑 誌)』양양부 관애조(關阨條)에도  같은  내용이  전한다.

    이런  기록으로  미루어  조침령은  소동라령과  구룡령  사이에  있으며  춘천부  기린현과 경계를 이루는 곳에 있었음을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