Ⅴ. 맺음말
페이지 정보
조회 27회
본문
고지도, 각종 문헌 등을 확인한 결과 과거의 소동라령, 오색령(한계령)은 일부의 주장 과 달리 모두 서로 다른 영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소동라령은 고지도, 고문헌, 경계의 기록, 하천의 수계, 양양부에서의 거리, 현지 답사 등을 종합한 결과 현재의 오색령이 아니라, 필여령 남쪽 지맥에 위치한 춘천부 기 린계로 연결되는 영으로, 양양에서 송어리를 거쳐 지금의 북암령(北庵嶺, 옛 소어령, 소 동라령)과 기린계 진동리, 곰배령(곰밴고개)에서 합강정, 인제로 이어지는 영로였음을 확 인할 수 있었다.
오색역은 오색령으로 넘는 관원들에게 쉬어갈 수 있는 편의는 제공하였만 보다 근본적 인 업무는 소동라령으로 진상품과 관수물자 운반이 주요한 업무였다. 따라서 소동라령을 통하여 서울로 운반하는 기능이 폐지되고 그 기능을 미시파령이 대신하게 되자 오색역도 원암역으로 옮겨 가서 새로운 역로의 지원을 계속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오색역이 옮겨진 후에도 오색령은 영로로서 여전히 남아있었다.
오색령은 역로(驛 路 )가 아닌 영로(嶺路)일 뿐이었고 미시파령(彌 時 坡 嶺 )으로 옮겨가기 이전까지 양양부의 유일한 역로(驛路)는 소동라령(所冬羅嶺)이었음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
〈그림 15〉미시령 전경
-
- 이전글
- 2. 소동라령과 오색역의 변화
- 25.02.10
-
- 다음글
- [5] 조침령 鳥寢嶺
- 25.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