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문화36호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문화36호

    양양문화36호 목록
      원통암 중건기는 원통암을 상량한 다음에 준공하고 1864년 가을에 화은호경이 기록한 것을 번역하였다. 원통암의 중건을 이루어 냈다, 가람을 완성하니 소옹 화은자가 그것을 기록한다. 원통암은 명주사 동남쪽 모퉁이에 있으며, 명주사는 오대산 동쪽 기슭에 있다. 오대산…
      1928년 한용운 선사께서 조사하여 기록한 명주사의 건물 현황에는 9간이나 되는 큰 규모의 어향각(御香 閣)이 있다. 어향각(御香閣)이 사찰에 존재하려면‘금강산 신계사’처럼 왕실과의 관계에서 왕실의 복(福)을 빌기 위한 원 당(願堂)이 되고 절의 살림을 위한 왕실 지…
      위의 두 암자는 북방불기 이천일백오십년 고려 인종 원년인 1123년에 창건하여 운영하다가 1860년(철종 11)에 함께 화재를 입어 모두 소실(燒失)되었다. 다음 해에 명주사의 승려 인허(印虛)가 운문암을 중건하고 만일선회(萬日禪會)65)를 베풀었다. 후에 운문암이 다…
      『건봉사급건봉사말사적』명주사 속암 일람에 향로암은 북방 불기 이천칠백삼년(숙종 2, 1676년)에 절의 스님 수형(秀螢)이 창건하였으나, 1860년(庚申)에 불에 타서 다음 해인 1861년(辛酉)에 암자를 동쪽으로 이 전 건축하고 보련암(寶蓮庵)이라 고쳐 부르다 후에 …
      벽옥루는 북방 불기 이천칠백이십팔년(숙종 27, 辛巳, 1701)에 명주사가 이건(移建)되기 전에 법당 맞은편 69)에 창건되었다. 현산지에 벽옥루(碧玉樓)는 채팽윤(蔡彭胤)이 별들이 걸려 있고, 명주사 옆은 허공으로 비취를 머금고 있 는 듯하다고‘벽옥루(碧玉樓)’라…
      명주사는 역사에 비하면 유물이 매우 적은 편이다. 이는 수 없는 화재(火災)와 태풍으로 인하여 모두 사라 졌기 때문 일 것으로 보여진다. 문화재로는 1704년(숙종 30)에 조성된 양양 명주사 동종이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 어있다. 조선 후기 …
      명주사 동종은 1980년 2월 26일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64호로 지정되었다. 예로부터 어성십경 (魚城十景) 중에는 명주사에서 울리는 저녁 종소리인“산사모종(山寺暮鐘)”을 으뜸으로 쳤다. 전형적인 조선 후기의 범종으로 1704년(숙종 30)에 제작되었으며, 높이…
      현재 명주사에 소장 중인 양양 명주사 동종의 봉안처는 대흥사(大興寺)로 1704년(숙종 30) 갑신(甲申) 2월 강원도 울진 남령 태백산에 위치한 대흥사에서 사용하기 위해 제작한 대종으로‘대흥사명(大興寺銘) 범종’이라고 한다. 이 동종의 원봉안처(元奉安處)가 울진군(蔚…
      이 종은 전체적으로 주조와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하다. 또, 종신의 중단을 돌아가면서 순서대로 부착된 장방형의 주종기(鑄鍾記)도 온전히 남아 있어 제작 연대 등 범종 제작과 관련된 내력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대흥사명 범종에 대한 주종기77)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명주사 부도군은 1991년 2월 25일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자료 제116호로 지정되었다. 부도는 승려의 무덤을 상징하여 그 유골이나 사리를 모셔두는 곳으로 승탑(僧塔)이라고도 한다. 명주사 부도는 조선후기 도내 소재 부도 중에서 가장 빼어난 조각 솜씨를 보여주…
      〈그림 19〉명주사 부도군 앞열 8기 ⇒ 앞열 : ① 덕신당수용대화상(德信堂壽龍大和尙) ⇒ 불기 2521년 서기 1977년 음력 1월 9일 입적(入寂) ② 안곡당(安谷堂,1832) ③ 중봉당(中峯堂,1818) ④ 호월당(皓月堂) ⑤ 충암당(忠庵 堂) ⑥ 무…
      안타깝게도 우리는 문화재 도굴에 대한 소식을 종종 접하게 되는데 일제와 서양 문물이 들어오고 난 이후 현상으로 복장(伏藏) 유물과 부도의 도괴(倒壞), 무덤을 파헤쳐 문화재를 절취(竊取)하는 사건을 가끔 당하는데 이중 부도의 도괴 사건이 가장 빈번하다. …
      가) 연파당대선사(蓮坡堂大禪師)의 비(碑)와 부도(浮屠) 나) 인곡당선사비명(麟谷堂禪師碑銘) 다) 학운당태선사정원(鶴雲堂太禪師正原)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라) 용악당대선사비(聳岳堂大禪師碑)
      ① 연파당대선사(蓮坡堂大禪師)의 비(碑) 비좌(碑座), 비신(碑身), 개석(蓋石)을 갖추었으며, 비좌는 장방형으로 116cm×82cm×20cm의 크기로 상 면은 각 변의 모를 죽여 자연스럽게 경사를 주었다. 비신은 69cm×21cm×185cm로 양면에 명문을 세긴 2…
      비좌(碑座), 비신(碑身), 이수(螭首)를 갖추었으며, 비좌는 장방형으로 128cm×90cm×21cm 이다. 비신 은 73cm×38cm×165cm로 4면 모두에 명문을 새겨져 있다. 비신 전면 위쪽에는 40cm×73cm의 공간에 해서체(楷書體)로『인곡당 선사비명(麟谷堂…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