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문화원장 박 상 민
수도권에서 동해(東海)로 제일 가까운 곳이 양양이다.
서울 양양 간 고속도로의 연장이 153km이다.
그러나 이렇게 교통이 발달되기 전 우리 선조들은 한양 등 서쪽으로 가려면 1,000m가 넘는 백두대간의 험준한 산맥을 …
|
|
[제1편]
백두대간을 관통하는 서쪽 영로(嶺路) ----- 1
제1장 오색령(五色嶺) ----- 7
Ⅰ. 머리말 ----- 9
Ⅱ. 오색령과 한계령의 관계 ----- 11
1. 설악산과 한계산 ----- 11
2. 소솔령과 오색령(한계령) --…
|
|
제1장 오색령(五色嶺)
제2장 필여령(弼如嶺)
제3장 단목령(檀木嶺)
제4장 소동라령(所冬羅嶺)
제5장 조침령(鳥寢嶺)
제6장 구룡령(九龍領)
|
|
과거 양양부(襄陽府)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서쪽으로 통하는 영로는 총 6개가 있었 다. 그러나 이글의 성격상 6개 영을 개별적으로 정리하다 보니 전체를 한 번에 이해 하는 자료로서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하여 설명을 부가한다.
우선 영의 순서를 오색령에서 구룡령까지 북에서…
|
|
Ⅰ. 머리말
Ⅱ. 오색령과 한계령의 관계
Ⅲ. 일제강점기 오색령
Ⅳ. 양양 오색령 지명복원
Ⅴ. 맺는말
오색령 전경
|
|
오색령은 행정구역상으로는 강원도 양양군 서면 오색리 산 1-30번지이며, 해발 1,004m10)로 예전부터 영동과 영서를 잇는 주요 영로였다. 임진왜란 중인 선조 29년 (1596) 2월 1일에 비변사(備邊司)가 아뢰기를 적병이 영동으로 침입하면 이 영(嶺)을 넘을 것…
|
|
1. 설악산과 한계산
2. 소솔령과 오색령(한계령)
3. 소솔령이 오색령인 근거
|
|
<그림 2> 오색령 정상의 표석
설악산(雪嶽山)은 강원도 양양군, 인제군, 속초시, 고성군에 걸쳐있는 산으로 1970 년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대청봉(1,708m)을 중심으로 북쪽으로는 향로봉과 금강산을, 남쪽으로는 점봉산과 …
|
|
지금 한계령의 옛 지명은 소솔령(所率嶺)이었다.
1589년 강원도 관찰사를 역임한 팔곡 구사맹(八谷 具思孟,1531~1604년)의 『팔곡집 (八谷集)』에 수록되어 있는 「한계산(寒溪山)」 시(詩)의 주석(註釋)을 살펴보면 “옛 절 한계사는 양양에서 소솔령(所率嶺)을 …
|
|
오색령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찾을 수 있다. 선 조실록 권 72(宣祖實錄 卷七十二) 1596년 2월 1일에 비변사(備邊司)가 선조께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적병이 경상도 영해(寧海) 연해를 따라 북상하게 되면, 평해와 울진이 가장 …
|
|
1. 일제강점기의 오색령에 대한 표현
2. 해방 이후 오색령(한계령)의 변화
|
|
일제강점기에도 행정 내적으로는 오색령이란 지명을 공식적으로 사용하였다. 조선 총독부 「관보」 제140호(1913. 1. 21)에 “강원도의 3등 도로를 다음과 같이 정하다. 양양〜인제 간(藥水里, 五色嶺, 魚頭里 經由)”이라고 고시23) 하면서 오색령(五色嶺)을 공식 …
|
|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每日申報, 1922. 12. 6.)에 의하면 양양군에서는 오색령 도로를 2등 도로를 만들기 위해 “오색령 통과 기성동맹규약(五色嶺 通過 期成 同盟規約)”을 만들어 3개년에 걸쳐 완성하기 위하여 총공사비 중 15만원24)을 기부하 는 조건으…
|
|
1922년 12월 6일 양양군민은 모든 면의 대표가 참여하여 “양양 오색령 통행 기성동맹 규약”을 만들고 회원 50명이 참여하는 “오색령 이등도로 개착 기성동맹회”를 조 직하였다. 오색령이 2등 도로로 승격하면 매년 5만원씩 3개년간 총 15만원을 공사비 로 기부하는 …
|
|
오색령을 2등도로로 개착(開鑿)하기 위해서 진심을 다한 이웃 7개 군과 함께한 노 력과 추진 내용에 대한 기사를 아래에 정리하였다.
▪ 襄陽直通의 必要로 春川에서도 陳情
▪ (양양 직통의 필요로 춘천에서도 진정 1922. 12. 6)
京城五里津線이 杆城線으로 變定…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