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지방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지방의 영(嶺)

    3. 소솔령이 오색령인 근거

    페이지 정보

    조회 34회

    본문

    오색령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조선왕조실록(朝鮮王朝實錄)』에서 찾을 수 있다. 선 조실록 권 72(宣祖實錄 卷七十二) 1596년 2월 1일에 비변사(備邊司)가 선조께 다음과 같이 아뢰었다. 

    “적병이 경상도 영해(寧海) 연해를 따라 북상하게 되면, 평해와 울진이 가장 먼저 적을 맞이할 것입니다. 이곳을 만약 지키지 못하면 적병이 깊숙이 영동(嶺東)으로 침 입하여   추지령(楸池嶺)15)⋅미수파(彌水坡   :   미시령)⋅오색령(五色嶺)⋅백봉령(白鳳 嶺)16)  등을 차지하고 모두가 영로(嶺路)를 넘게 될 것이니, 방비하지 않을 수 없습니 다.”17)  라고 기록되어 있다. 

    그토록 많은 문헌에서 언급되던 소솔령(所率嶺)이라는 고개명은 이때부터 모든 기 록과 지도에서 사라지고 오색령(五色嶺)이라는 지명이 등장한다. 이는 임진왜란을 치 르면서  비슷한  명칭의  고개  이름(소파령,  소솔령,  소어령,  소동라령  등)에서  벗어난 특별한 지명을 통해 위치를 쉽게 기억하기 위함이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는 김수증(金壽增)18)의 『곡운집(谷雲集)』에 수록된 『한계산기(寒溪山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691년 5월 9일의 기문(記文)에 “한계사(寒溪寺) 옛터를 지나니 북쪽 사면의 모든 산봉우리는 곧게 솟아 있고, 나무들이 무성하여(중략) 물가의 돌 위에서 점심을 들었다. 지나는 스님을 만나 어디로 가느냐고 물으니, 대답하기를 오색령(五色 嶺)을 지나서 양양(襄陽)으로 가는 길인데 대개 이곳에서 바닷가까지의 거리는 80리 정도라고 하였다.”19)라고 기록되어 있다. 

    위에서 우리는 양양에서 영을 넘어 한계사 터를 지나 인제로 가는 영이 소솔령임 을 기록을 통해 확인했었다. 그런데 지나가는 스님에게 어디를 가느냐고 물으니 오색 령을 거쳐 양양으로 간다고 대답했다. 이로써 소솔령이 오색령으로 이름이 바뀌었음 을 알 수 있다.

     

     

    93.jpg

    <그림 5> 한계사지 전경


    양와 이세구(養窩 李世龜)의 문집인 『양와집(養窩集)』에 1691년 10월 3일 기록한 「 동유록(東遊錄)」이 있는데 “조침령의 북쪽은 오색령이고 그 동쪽은 양양(襄陽)이고 서 쪽은 인제(獜蹄)이며 오색령 북쪽이 미시파령이다.”라고 적고 있다.20)


    식산 이만부(息山 李滿敷)의 『식산집(息山集)』 「금강산총기」서두에 “대체로 우리나 라의 산은 백두산에서 비롯되었으며 백두산(白頭山)의 낙맥(落脈)이 남으로 흘러 철령에  이르며  남북의  경계를  이룬다.  이곳에서  동으로  굽이치면  추지령·쇄령·온정령 등 세 개의 큰 영(嶺)으로 팔백리를 왕래하며, 온정령 남쪽 삼십리에 금강산이 있다. 

    금강산에서 동해를 따라 백리를 내려가면  진보령〔진부령〕이다. 진보령에서  오십 리를 더 가면 석파령이고, 그곳에서 삼십리를 더 가면 미치령〔미시령〕, 다시 육십 리를 가면 한계산이고, 다시 삼십리를 가면 오색령에 이르며, 이곳에서 구십리를 가 면 오대산에 이른다. 여기서 다시 삼십리를 가면 대관령이고, 사십리를 더 가면 백복 령이고, 백리를 더 가면 태백산과 황지 연못이다. 이 영들은 대체로 위든 아래든 지 세나 풍경이 빼어나지만 좁고 험준한 모습이다.”21)라고 적고 있다. 


    『증보문헌비고』 양양  산천편(襄陽山川編)에는  “양양  오색령은  서쪽  50리에  있다. 구불구불한 여러 산이 총설에 나타나 있다. 영로(嶺路) 오색령은 현재 양양의 영로로 필여령과  함께  나란하며  서로(西路)는  소동라령․조침령이다.  구룡령은  강릉으로  가는 도로로 형제현, 양한치도 모두 서쪽을 향하는 도로이다. 인제 영로(麟蹄嶺路)는 미시 령⋅흘이령⋅탄둔령⋅두모치⋅건리치⋅오색령⋅서파령⋅가노치⋅진보령이다.”22)고 기록되어 있다.


    이를 입증하듯이 앞에서 본 고지도들에서도 소솔령과 오색령이 함께 표기된 지도는 없다. 모든 고지도에서 소솔령이 사라지고 오색령이 나타나고 있다. 한계사에 투숙객 이 많아 이를 감내할 수 없어 절을 버리고 떠날 정도로 이용객이 많았던 소솔령이란 지명이 모든 지도에서 사라지면서, 필여령의 북쪽 영으로 모든 지도와 문헌에서 빠지 지 않고 나타나는 오색령이 과거의 소솔령임이 분명하다. 오색령은 소동라령이 없어 진 후 당시에도 양양과 인제를 연결하는 가장 중요한 영로로 지금의 한계령(옛 오색 령)임을 알 수 있다. 


    ------------------

    15) 강원도 회양군 안풍면과 통천군 벽양면(지금의 통천군 중천리와 금강군 화천리) 사이에 있는 고개.

    16) 동해 · 삼척과 정선 · 임계 이어주는 백두대간 능선 고갯마루

    17)  備邊司 啓曰:……賊兵由慶尙道寧海,  沿海以北,  則平海蔚珍,  當先受敵。 此處若失,  而賊兵深入於嶺東,  則楸池嶺、彌 水坡、五色嶺、白鳳嶺等處, 皆爲踰嶺之路, 不可不備也。

    18)  김수증(金壽增 1624∼1701)  : 본관은 안동(安東).  1650년(효종 1) 생원시에 합격,  1652년 세마(洗馬)가 되었다. 형 조정랑, 공조정랑을 거쳐 각사(各司)의 정(正)을 두루 역임. 젊어서부터 산수를 좋아하여 금강산 등 여러 곳을 유 람한 뒤 기행문을 남김. 『곡운집』, 『곡운구곡도첩』 등을 저술

    19)  歷寒溪寺舊基。北面諸峯矗立森羅。(생략)  至溪邊石上午飯。逢過去僧。問其何向。則曰由五色嶺至襄陽。蓋此距海路 八十里云。

    20) 曹砧之北爲五色嶺。其東則襄陽。西則獜蹄。五色之北爲彌時坡嶺.

    21) 大抵我東之山 起自白頭 白頭之脉 南流至鐵嶺 限南北界 東迤爲楸池 鎖 溫定三大嶺 通八百里 溫定南三十里 爲金剛 金剛東遵海百里爲眞寶嶺 五十里爲石坡嶺 三十里爲 彌峙嶺 六十里爲寒溪山 三十里爲五色嶺 九十里爲五臺山 三十里 爲大關嶺 四十里爲百複嶺 百里爲太白·黃池. 此其上下形勝阻阨大體也. 

    22) 『增補文獻備考』 卷二十八

    襄陽  五色嶺在西五十里右諸山見總說  嶺路五色嶺見襄陽嶺路  弼如嶺並西路  所冬羅嶺  阻沈嶺  九龍嶺江 陵路 兄弟峴 兩寒峙並西路 麟蹄嶺路 味施嶺……屹伊嶺 炭屯嶺……頭毛峙……建里峙……五色嶺 見襄陽 嶺路 西坡嶺並東路 加奴峙南路 眞寶嶺北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