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을 관통하는 서쪽 영로에 들어가면서
페이지 정보
본문
과거 양양부(襄陽府)에서 백두대간을 넘어 서쪽으로 통하는 영로는 총 6개가 있었 다. 그러나 이글의 성격상 6개 영을 개별적으로 정리하다 보니 전체를 한 번에 이해 하는 자료로서는 부족할 것으로 생각하여 설명을 부가한다.
우선 영의 순서를 오색령에서 구룡령까지 북에서 남으로 이어지는 순서대로 정리하 였으며 양양부에서 출발하면 인근 고을 어느 곳에 이르는지를 확인하여 정리하였다.
인제현으로 가는 영로는 오색령(五色嶺)1)과 필례령(必曳嶺)이 있고, 연수파(連水 坡)2)와 조침령(鳥寢嶺), 소동라령(所冬羅嶺)3)은 춘천부 기린현으로 가고, 구룡령(九龍嶺)은 강릉부로 가는 영로였다.
여기에서 인제현은 지금의 인제군청 방향을 말하며, 춘천부 기린현은 인제군 기린 면 진동리가 되었고, 구룡령 넘어 강릉부는 홍천군 내면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최근 오색령(한계령)을 두고 인제군에서 소동라령과 같은 영이었다고 잘못 해석함 으로써 산악인들에 의해서 인터넷상에 마치 정설처럼 여겨 잘못된 내용을 펴 나르고 있어 혼란이 가중되고 있어 이를 바로 잡아보면 다음과 같다.
양양부에서 서쪽으로 통하는 영로(嶺路)는 6개였지만 이 중에서 사람과 물자의 원 활한 이동을 위해 역을 매개로 중앙과 지방을 연결한 역로(驛路)는 소동라령이었다. 오색역(五色驛)이란 이름 때문에 오색령이 역로로 활용된 것으로 착각하게 되었다.
그러나 오색령의 돌산을 뚫고 우마차가 통과하게 된 것은 일제강점기인 1939년 이후 부터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 제45 간성군 산천(山川)조에 ‘미시파령 (지금의 미시령)은 고을 서남쪽 80리쯤에 있다. 길이 있으나 예전에는 폐지하고 다니 지 않았는데 1493년(성종 24)에 양양부 소동라령(所冬羅嶺)이 험하고 좁다 하여 다시 이 길을 열었다.’ 역원(驛院)조에는 ‘원암역(元岩驛) 옛터가 있는데, 고을 서남쪽 63리에 있었다. 미시파령(彌時坡嶺)의 길이 열리면서 오색역(五色驛)을 철거하여 여기로 옮겼다.’ 는 기록이 있다.
결국 1493년에 소동라령(所冬羅嶺)은 역로(驛路)로서 기능을 상실함에 따라 미시파 령(彌時坡嶺)이 열렸고, 소동라령의 역로(驛路)를 유지 보수하는 임무를 수행하던 오 색역(五色驛)도 폐지되어 새로운 역로를 따라 간성지역으로 옮겨갔으며 원암역(元岩驛)에서 이 일을 계속하게 되었다.
인제에서 주장하는 오색령이 소동라령이라는 억지 주장은 사실을 왜곡한 오류임을 확실하게 밝혀두는 바이니 바르게 이해하기 바란다.
6개의 큰 영들이 지금은 백두대간(白頭大幹)4)을 종주(縱走)하는 대간(大幹) 길로 이 용되며 총 35구간 중 31구간은 구룡령에서 조침령까지 24km이고, 32구간은 조침령에 서 오색령(한계령)까지 25km이다. 총 42구간으로 나누면 각각 37구간과 38구간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특히, 조침령과 구룡령에서는 자전거 힐클라이밍5) 경기가 종종 개최되어서 과거와 는 다른 기능으로 많이 이용되고 있다.
6개의 큰 영으로 가기 위해서는 작은 영을 넘어야 하는데 작은 영으로는 향현(香 峴/향째 : 상평고개), 소량치(所良峙 : 서늘재)6), 한령(寒嶺 : 빨딱고개), 형제현(兄弟 峴)7), 망령(望嶺)고개8), 작은양아치(小兩峨峙), 큰양아치(大兩峨峙)9) 고개가 있다.
위의 작은 영로들은 각종 지리지나 시문 등에 등장하는 곳으로 각각의 위치는 주 석을 참고하시기 바란다. 이글에서 작은 영로는 위치만 확인하였을 뿐, 따로 큰 영들 처럼 정리하지는 않았어도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설명을 하였기에 이해하는 데에는 큰 무리가 없을 줄로 안다.
큰 영로의 대부분은 확·포장되어 국도와 지방도로 이용이 되면서 과거의 흔적을 찾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단목령(연수파)과 북암령(소동라령)은 아직도 옛 모습이 그대로 남아있으며 조침령과 구룡령은 옛길은 남아있으나 새로운 2차선 도로가 개설 되어 추억 속의 영로가 되었다. 이중 단목령(연수파)은 1982년 『설악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서 1987년부터 입산이 통제되었으며, 2011년 《양양향토사연구소》 에서 탐방 조사한 바에 의하면 북암령(소동라령)은 역로의 기능을 잃은 후부터 지금 까지 거의 폐쇄상태이기에 옛 모습을 간직하고 있었다. 작은 영로도 소량치(서늘재) 와 망령고개, 형제현을 빼고는 모두 포장되어 옛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영로 모두는 별개로 존재하기는 하지만 이웃 고을과 서로 유기적인 관계의 시발(始 發)로 양양부의 물자와 사람이 영서로 통행하면서 물물교환 내지는 상행위를 추진하 였으며, 특히 소금과 해물이 주로 인제로 갔지만 멀리는 홍천, 원주, 양구, 춘천까지 도 이어지는 것을 “오색령 2등 도로 개착 진정서”에서 확인하였다.
6개의 영로는 비슷하면서도 개별적인 특징과 사람 살아가는 맛과 멋이 조금씩은 차이가 있다. 영을 읽어가면서 이들의 미묘한 차이와 우리 《양양학연구소》에서 전 하려 한 것이 무엇인지를 느꼈으면 한다.
-----------------
1) 오색령(五色嶺)의 옛 이름은 소솔령(所率嶺)으로 1915년 일제가 조선 침탈을 목적으로 만든 1/50,000 지도에 오색령 을 한계령으로 표기한 이래로 오색령의 지명은 한계령이 되어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2) 단목령(檀木嶺)의 옛 이름은 연수파(連水坡)로 불리다가 광여도(1737∼1776)와 대동지지(1861∼1866)에서 박달령(朴達嶺) 으로 기록된 후 박달령으로 불리다가 일제강점기인 1917년(대정6) 총독부에서 발행한 지도에 박달령(朴達嶺)을 단 목령(檀木嶺)으로 기록하였는데 그 후부터 단목령이 공식적인 표기가 되었다.
3) 북암령(北庵嶺)의 옛 이름은 소동라령(所冬羅嶺)이라 하며 바드라재라고도 한다.
4) 백두대간은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 인식체계이며 백두산에서 시작되어 금강산, 설악산을 거쳐 지리산에 이르는 한 반도의 중심산줄기로서, 총길이는 약 1,400km에 이른다. 지질구조에 기반한 산맥체계와는 달리 지표 분수계(分水界)를 중심으로 산의 흐름을 파악하고 인간의 생활권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루는 산지 인식체계로 1정간 13정맥으로 되어있다.
5) 힐클라이밍, 혹은 힐클라임은 주로 자동차를 운전하여 도로를 통해 주어진 지점까지 가는 시간을 기록하여 경쟁하 는 모터스포츠의 한 종류이다. 그러나 지금은 오토바이와 자전거를 이용하여 언덕을 오르는 경기로 확대되었다.
6) 소량치(所良峙)는 흑간리(黑澗里 : 양양철광)에서 가라피리(加羅皮里)로 넘는 고개
7) 형제현은 만경대와 용소폭포 탐방지원센터 사이에 위치한 두 봉우리
8) 망령고개는 송천리와 논화리 경계로 북암리로 가는 행로
9) 작은양아치(小兩峨峙)와 큰양아치(大兩峨峙)는 붙어 있으며 영덕리로 넘어가는 고개로 도로 폭이 마치 개미허리처 럼 가늘고 높고 험하게 생겨서 붙은 이름이다. 본래는 양한치(兩寒峙)였다.
-
- 이전글
- [제1편] 백두대간을 관통하는 서쪽 영로(嶺路)
- 25.02.06
-
- 다음글
- 제1장 오색령(五色嶺)
- 2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