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2. 권운경이 양양(襄陽)에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며 /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페이지 정보
본문
권운경(權雲卿)이 양양(襄陽)에 부임하는 것을 전송하며 5수.
이름은 권진(權縉)이다.
이름난 절 낙산사가 지어진 건 전 왕조
형승 보면 우뚝하게 특별하게 드높다네
말 듣기로 오경에는 일출 볼 수 있다 하니
흰 구름 쌓인 단상에서 붉은 물결 굽어보네
신선의 땅 한 해 내내 시끄러운 일 없는데
맑은 기운에 외로운 정자는 유월에도 추우리라
찬 자리서 졸다 깨자 오궤안은 고요한데
바닷바람 불어와서 죽피관을 떨구네
습가지의 누관에는 먼지 오래 쌓였는데
현산의 비문 몇 번 보아야 돌아오려나
강한풍류 놀이 모두 헛일 되었으니
녹문에서 모름지기 성씨나 찾아보리
철에 따라 나는 진미 고을에다 올리나니
입 큰 농어 꼬리 붉은 방어 팔대어도 있네
좋은 시절 수연 열기 어느 곳이 젤 좋은가
긴 제방의 꽃과 버들 반여 끌고 가 보시게
어린 시절 노닐 적엔 모두 머리 검었는데
순식간에 흐른 세월 몇몇 해가 지나갔나
근년 들어 만사 모두 맘 식은 지 오래건만
이별 정만 남아 있어 늙어서도 맘 상하네
洛山名刹創前朝
形勝岧嶤特地高
聞說五更看日出
白雲壇上俯紅濤
仙區終歲絕喧煩
納灝孤亭六月寒
氷簟睡醒烏几靜
海風吹落竹皮冠
習家池館久生塵
峴首殘碑閱幾春
江漢風流秪虛事
鹿門須覓姓龐人
時羞簇案進官廚
巨口赬魴八帶魚
佳節壽筵何處好
大堤花柳引潘輿
童丱相隨各髩蒼
轉頭時序幾炎凉
年來萬事休心久
只有離情老更傷
『淸陰先生集』卷之二,送權雲卿赴襄陽 五首名權縉
습가지- 진나라 산간이라는 사람이 양양에 살았는데 매일 습가지 연못에서 술을 마셔서 크게 취해 있었다고 함.
김상헌(선조 3년, 1570년〜효종 3년, 1652년)의 본관은 안동(安東)이고 자는 숙도(叔度), 호는 청음(淸陰)•석실산인(石室山人 : 중년 이후 楊州 石室에 退歸해 있으면서 사용)•서간 노인(西磵老人:만년에 安東에 은거하면서 사용)이다. 선조 23년(1590년) 진사가 되고 1596년 전쟁 중에 실시한 정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 권지승문원부정자(權知承文院副正 字)에 임명되었다. 광해군 즉위년(1608년) 문과 중시에 을과로 급제, 사가독서(賜暇讀書) 한 뒤 교리응교(應敎)•직제학을 거쳐, 광해군 4년(1611년) 동부승지가 되었다.
인조 4년(1626년) 성절 겸 사은진주사(聖節兼謝恩陳奏使)로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후 육조의 판서 및 예문관성균관의 제학 등을 지냈다.
1639년 청나라가 명나라를 공격하기 위해 요구한 출병에 반대하는 소를 올렸다가 청나라에 압송되어 6년 후 풀려 귀국하였다 1645년 특별히 좌의정에 제수되고, 기로사에 들어갔다.
대제학, 이조 판서, 예조 판서, 공조 판서, 병조 판서를 지냈다. 저서에 『野人談錄』• 『豐岳問答』가 있고, 『청구영언』의 가곡집에 시조 4수가 전한다.
-
- 이전글
- 121. 척성호(雨隻成湖-청초호) / 교산(蛟山) 허균(許筠)
- 25.03.02
-
- 다음글
- 123. 양양 부사 이효숙의 아내에 대한 만사 /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 25.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