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지방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지방의 영(嶺)

    5. 보부상(褓負商)의 바꾸미[物物交換] 길

    페이지 정보

    조회 22회

    본문

    오색령은  소동라령의  기능이  미시파령(미시령)으로  옮겨간  후에도  과객(科客)이나 양반, 관료들이 다니는 공로(公路)의 기능을 일부 하였다면 필례령은 보부상이나 “바 꾸미(物物交換)”하던 일반인이 넘어 다니는 지름길(捷徑) 이었다.

    부보상(負褓商)은  보상(褓商)과  부상(負商)을  총칭하는  말인데  보상은  주로  기술적 으로 정밀한 세공품이나 값이 비싼 사치품 등의 잡화를 취급한 데 반하여, 부상은 조 잡하고 유치한 일용품 등 가내 수공업품 위주로 판매를 하였다. 또한 보상은 보자기에 싸서 들거나 질빵에 걸머지고 다니며 판매하였고, 부상은 상품을 지게에 얹어 등 에 짊어지고 다니면서 판매도 하고 바꾸미(物物交換)도 하였다. 이에 따라 보상을 “봇 짐장수”, 부상을 “등짐장수”라고 하였다. 

    영동과  영서를  오가는  장사는  주로  특산물을  옮기는  부상으로  나귀나  소의  등에 짐을 싣는 질매47)를 이용하였다.

    걸어서  영(嶺)을  넘어  인제에  도착하려면  100리길(40km)  이라  나귀에  짐을  싣고 가면 사나흘에서 열흘 이상씩 이장 저장을 돌며 장사를 하고 돌아와야 수지가 맞았 다.

    영서 사람들도 주먹밥을 싸서 필례령을 넘어 옥수수와 감자, 콩, 나물 등을 생선과 바꾸기 위해 왕래했지만 설 전에는 제사에 사용할 어물을 구하기 위하여 더욱 빈번히 오갔다. 


    ∎ 인제군 5일장 : 서화장(瑞和場 1,6일), 원통장(元通場 2.7일), 기린장(麒麟場 3.8 일), 신남장(新南場 3.8일), 인제장(麟蹄場 4,9일)



    가. 양양의 토산물


    『신동국여지승람』 권44  양양부  토산(土産)조48)에  보면  철(鐵)이  나오는데  지금의 양양 철광의 위치인 ‘서선사(西禪寺) 동쪽 봉우리 아래서 나온다.’는 기록을 보아 오래 전부터 철은 양양의 특산물로 진상도 했지만, 각종 농기구나 무기 등을 만들어 민간에 유통하고 영서지방으로도 많이 팔렸을 것으로 보인다.

    양양군 서면 갈천리 산50번지 구룡령 기슭에서 삼국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야철지(冶鐵地)가 발견돼 학계에서 확인한 결과 광석(鑛石)에서 철을 골라내고 정제해 각종 철제 연모를 만들던 터로 확인되었다. 

    또한 강현면 금풍리(金風里)의 옛 이름은 용철야(熔鐵冶 : 쇠 녹이는 물무골)로 300 년 전에 금풍리가 되었지만, 아직도 주변에서는 “쇠풍골”이라 부른다.

    토산품 중에는 미역이나, 김 등과 각종 어류(魚類)가 많이 있다. 영서(嶺西) 지방에 는 생산이 되지 않아 주로 영동(嶺東)의 장사 물목(物目)에 필수로 포함되어 있는데 영서로 가서 짭짤한 이득을 보았다.

    지금은 소금이라면 서해안의 염전에서 나오는 천일염만 알고 있으나 조선 시대에는 서해안뿐만 아니라 동해안 바닷가에서도 소금이 생산되었다. 조선 시대 동해안 일대 에서는 바닷물을 끓여서 만드는 염분(鹽盆, 소금가마)이 있어 소금 생산이 주력산업이 었다. 가마로 바닷물을 끓여 소금을 만드는 방식은 우리나라 전통의 소금 제조방식으 로 이렇게 만들어진 소금을 “자염(煮鹽)”이라 하였다.

    갯벌을  이용한  염전은  1907년  인천의  주안(朱安)에  처음  들어섰으며,  가열방식이 아닌 천일염(天日鹽)은 생산단가가 저렴하여 가마(鹽盆)에서 굽는 방식의 전통 자염은 경쟁력을 잃고 1960년대 이후에는 완전히 사라지게 되었다. 

    전국의 소금가마 개수가 『세종실록지리지』에 전해오는데 양양도호부는 동산현을 포 함하여  40개49)가  있었으며  강원도  내에서는  꽤  많은  숫자로  영서와  장사하는  물목 (物目)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50)

    『대동지지(1861∼1866)』 양양의 토산조에 소금(鹽)이 등장하는데. 우리군에서도 소 금과 관련 있는 마을이 4개소51)나 있어 소금을 활발하게 생산했음을 알 수 있다. 


    -------------------

    47) 질매는 길마의 방언으로 짐을 싣거나 수레를 끌기 위하여 소나 말 따위의 등에 얹는 기구이다.

    48) 신동국여지승람 권44 양양부 토산조(1530년)

    苧(모시),鐵(철)  :  出西禪寺東峯下(서선사 동쪽 봉우리 아래서 나온다)。竹箭  :  出竹島(화살대는 죽도에서 나온 다)。海松子(잣), 五味子(오미자), 紫草(지치), 人參(인삼), 地黃(지황), 茯苓(복령), 蜂蜜(꿀), 白花蛇(산무애 뱀, 독사 의 일종), 海衣(김), 藿(미역), 鰒(전복), 紅蛤(홍합), 文魚(문어), 大口魚(대구), 松魚(송어), 鰱魚(연어), 銀口魚(은어), 黃魚(황어),  魴魚(방어),  古刀魚(고등어),  廣魚(광어),  鱸魚(농어),  秀魚(숭어),  雙足魚(쌍족어),  海參(해삼),  松蕈(송이)。

    49) 『세종실록 지리지』 襄陽都護府鹽盆二十二。 洞山縣鹽盆十八

    50) 『세종실록 지리지』를 통한 강원도 동해안 고을의 염분(塩盆, 소금가마) 개수

    강릉도호부 23, 연곡 5, 우계 20, 양양도호부 22, 동산현 18, 삼척도호부 40, 평해군 46, 울진현 61, 간성군 17, 열 산(烈山) 6, 고성군 12, 안창 11, 통천군 36, 흡곡현 3, 간성군은 속현인 열산현을 포함해 23개.

    51) 염전 : 조산리 : 염전거리, 여운포리 : 염전터, 중광정리 : 염밭, 정암1리 : 염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