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蘘陽의 漢詩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蘘陽의 漢詩

    340. 호동서락기(湖東西洛記) 금원 김씨(錦園金氏) / 한문 원문과 저자 소개

    페이지 정보

    조회 30회

    본문

    余關東蓬萊山人也自號錦園児小善病父母愛憐之不事女工敎以文字日有聞悟未幾年畧通經史 思効古今文章有時乘興題花詠月窃念吾之生也不爲禽獸而爲人幸也不生於薙髮之域而生於吾 東文明之邦幸也不爲男而爲女不幸也不生於富貴而生於寒微不幸也然而天旣賦我以仁知之性 耳目之形獨不可樂山水而廣視聽乎天旣賦我以聰明之才獨不可有爲於文明之邦耶旣爲女子將 深宮固門謹守經法可乎旣處寒微随遇安分湮沒無聞可乎世無詹尹之龜難效屈子之卜而其言曰 策有所短智有所長使之自行其意則吾志决矣迨此未笄之年周覽江山之勝欲效曽點浴乎沂風乎 舞雩詠而㱕則聖人亦當與之矣心旣定計屡恳于親堂欠而後黽勉許之於是胸次浩然如鷲鳥出籠 有直上九霄之氣良驥脫勒有便馳千里之志

    轉向杆城上淸澗亭濱海而名涧者莫曉其義也亭前海水中有石如伏龜號龜巖巖中有石名自磨石 石上下有若新加細琢者火如否葉小如小錢謂兩石交磨所致而兩石上下相間幾爲尺餘豈能相變 耶然若以墨書字則過數日輒磨盖云其理誠不可曉矣坐亭上欲看月出到鷄鳴時忽見海雲玲瓏孚 輪氷玉若隱若現漸露眞面光色晃朗吐出雲端怳疑白蓮花一朶遍照海面忽若碧琉璃萬頃玉宇澄 廊端俔畢露淸風泠泠意想仙仙夜深不能眠命茶童進茶磨墨題詩曰

    片天靑綻暮雲邊

    萬象新同開關年

    鮮事奚童將煎若

    漏松缺月汲淸泉

    窓日射紅簷鳥乱啼始覺春眠俯臨滄海雲捲霧收莫測其涯益覺天地間爲物之鉅而自歎浮生之渺 一粟也

    訪襄陽洛山寺靑山四圍松葉菀密觀音寺臨於海上一邊倚於岸角一邊立柱海中架虛築寺法堂宏 壯佛像護以白紗從軒中木板下見海水吞吐石窟中晴雷撼岳開夾窓望見水光接天山川景物盡在 畫中白鷗紛紛飛下亦一竒觀也海邊女子皆黃髮赤脚以採蒮爲業商船徃徃出沒於滄波中浦邊材 家多以鯨骨爲臼其大可知也海狗多出蹲坐嶪上皆黑色形同凡狗見人則吠逼之則入于水中矣上 儀景臺欲觀日出鷄數唱遥望海天雲靄漠漠移時俟候然恨陰翳之爲魔矣漠李尋云日將早淸風發 群陰伙觀日於海者多爲雲氣所翳豈曉夜羣隱之氣猶有所未散而然耶雲者水之氣也海水之氣爲 太陽所激上升爲雲遊楊震盪於捋曒未曒之際耶稍久忽見紅鏡一顆自海中倏騰雲端冉冉漸升光 色盪漾有如白玉盤上高擎眞珠缸碧波灣外微颱紅錦傘也已而快擺駁氛全湧圓輪不覺失驚狂喜 踴躍欲舞瑞暈下射海面漲成一陣紅雲又復倒垂於平地上下通红便成簇火乾坤誠一竒觀也得口 經詩曰

    紅輪碾破海天雲

    上得竿餘轉運頻

    汲水擔薪材蒼曲

    涳濛瑞靄浥輕塵

    訪襄陽洛山寺靑山四圍松葉菀密觀音寺臨於海上一邊倚於岸角一邊立柱海中架虛築寺法堂宏 壯佛像護以白紗從軒中木板下見海水吞吐石窟中晴雷撼岳開夾窓望見水光接天山川景物盡在 畫中白鷗紛紛飛下亦一竒觀也海邊女子皆黃髮赤脚以採蒮爲業商船徃徃出沒於滄波中浦邊材 家多以鯨骨爲臼其大可知也海狗多出蹲坐嶪上皆黑色形同凡狗見人則吠逼之則入于水中矣上 儀景臺欲觀日出鷄數唱遥望海天雲靄漠漠移時俟候然恨陰翳之爲魔矣漠李尋云日將早淸風發 群陰伙觀日於海者多爲雲氣所翳豈曉夜羣隱之氣猶有所未散而然耶雲者水之氣也海水之氣爲 太陽所激上升爲雲遊楊震盪於捋曒未曒之際耶稍久忽見紅鏡一顆自海中倏騰雲端冉冉漸升光 色盪漾有如白玉盤上高擎眞珠缸碧波灣外微颱紅錦傘也已而快擺駁氛全湧圓輪不覺失驚狂喜 踴躍欲舞瑞暈下射海面漲成一陣紅雲又復倒垂於平地上下通红便成簇火乾坤誠一竒觀也得口 經詩曰

    紅輪碾破海天雲

    上得竿餘轉運頻

    汲水擔薪材蒼曲

    涳濛瑞靄浥輕塵

    向平海上越松亭風靜浪息日氣淸明極望島歟若有若無海色接天不見端倪而只覺沆潘之氣而令

    人興感浮世人生只堪可憐也哉徃三陟上所西樓五十川流水遠環太白山注于東海天地造化之竗 在在甚竒也探看忘返竒鳥雙飛多不知名而勝區禽獸盖亦墨於凡常也夫觀山觀涵難其兩美而乃 於此數百里內兼觀天下之雙竒以山而於萬二千峯以海而於三日浦叢石亭海金剛不意天地精英 之氣偏萃於此以全仁知之樂而不入關東經以見天地之令功矣

    八景旣盡領畧猶有餘戀到麟蹄訪雪岳山石勢連天峯戀聳列石白如雪故名雪嶽也石山千疊嵯峨 崒

    嵂名川萬曲幽深凄冷屢渡溪涧行廽山路千峯爭秀喬蕯蔽天鶴唳古松鹿走懸藤可謂瑶池琅苑 蓬萊方丈也緣溪左右紅躑躅業業爛開花叢相間濃映流水如垂長虹玉泉垂虹未必過此矣玉泉在 燕京玉泉山下泉噴如珠或名噴雪泉潴爲池廣過三丈爲燕京八景之一古稱玉泉垂虹今改玉泉趵 突上有砒曰天下第一泉吾難未見若其垂虹之狀則恐未有似此竒絕者山勢阧絕接天寸寸而進上 其絕頂有日大乘瀑掛于半空下垂幾百千丈眞珠碎玉左右噴落白日雷霆而露濛濛其氣勢風神之 千竒萬壯未知與盧山雁宕孰爲伯仲而此瀑不啻爲三千尺疑是銀河落九天之句正爲此瀑傳神也 試欲擬議則素練白雪猶屬尋常例語玉龍腰銀蝶蝀庶或近之着雨具帽機始近視之飛湍濺沬亂着 帽上聲如雹打若將穿破雖知爲水沬而猶不覺魄驚神悖不能定情之朝露滿空不辨林壑峯巒出沒 雲間若削靑玉而列畫屏俄見黑雲始收月明風淸峯垂巖石之手奇萬詭盡輸吾眼底矣得一詩曰 千峯突兀揷天餘

    輕霧初收畵不如

    好是雪山竒絕處

    大乘瀑㳍勝匡盧

    入 白 潭寺少憩訪水簾洞水石亦竒壯也雪嶽舊有金三淵永矢庵及金淸寒五世歲菴今其遺墟雖不可 見而雪獄之名盖以二公益若與金剛并時矣山海之竒壯旣爲歷覽更欲觀綺麗繁萃之場遂向京城

    『湖東西洛記』

     

    금원김씨(순조 17, 1817년~?)는 원주인으로 호는 금원(錦園)이고, 삼호정시단(三湖亭詩 壇)의 동인이다. 원주사람으로 어려서부터 병을 자주 앓아 몸이 허약하므로 그의 부모가 글을 배우도록 했는데, 글을 뛰어나게 잘해서 경사(經史)에 능통했고, 고금의 문장을 섭 렵하여 시문에 능했다. 순조 30년(1830년) 3월 14세 때 남자로 변장하고 단신 금강산을 유람하여 견문을 넓혀 시문을 짓고, 이것이 인연이 되어 돌아와서 시랑이며 규당(奎堂) 학사인 김덕희의 소실이 되었다.

    헌종 9년(1843년) 27세로 문명을 떨쳐서 세상에서 '규수 사마자장(司馬子長)'이라고 칭 호하였다. 1845년에는 김덕희와 함께 서도와 금강산을 유람하다가 1847년에 돌아와 서울 용산에 있는 김덕희의 별장인 삼호정에 살면서 같은 처지의 벗들과 어울리면서 그들을 규합하여 시문을 지으면서 시단을 형성하였다.

    1850년에는 『湖東西洛記』를 탈고하고 철종 2년(1851년)에 『죽서시집』발문을 썼다. 일 찍부터 충청도•강원도•황해도•평안도 일대, 즉 호동서락(湖東西洛) 등의 명승지를 주유 관람하고, 또 내•외금강산과 단양일대를 두루 편력하면서 시문을 써서 시 「湖洛鴻爪」등 이 수록된 시집 『호동서락기』를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