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蘘陽의 漢詩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蘘陽의 漢詩

    230. 낙산사제영 (洛山寺題詠) / 퇴어자(退漁子) 김진상(金鎭商)

    페이지 정보

    조회 17회

    본문

    하얗게 센 머리로 해상봉에서 서로 만나니

    꾀꼬리 울고 제비가 지저귀는 소리에 녹음이 짙구나 

    어찌 옛 절의 사롱(紗籠-현판에 먼지가 앉지 못 하도록 덮어씌우는 천)있는 것을 알고 

    다시 선조의 옛 동료와 더불어 만나리


    白首相逢海上峰 

    鶯啼鷰語綠陰濃

    誰識古寺紗籠裏 

    更與先祖舊侶逢

     

    『山見山誌』

     

    김진상(숙종 10년, 1684년~영조 31년, 1755년)의 본관은 광산이고 자는 여익(汝翼), 호 는 퇴어(退漁)이다. 숙종 25년(1699년) 진사가 되고 1712년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설서•지평 등의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으며, 1720년 홍문록에 올라 수찬을 지냈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풀려나 이조정랑으로 등용되었다. 이어 수찬필선•부교리 등을 역임하던 중 영조 5년(1729년) 기유처분으로 실시된 탕평책에 반발하여 퇴거하기도 하였으나 다시 환로에 진출하여 1735년 부제학, 1738년 대사성, 1740년 대사헌을 거쳐 1753년 좌참찬에까 지 이르렀다. 글씨에 능하여 많은 비문을 썼다. 문집으로 『퇴어당유고』가 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