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Ⅳ. 단목령을 마치며

    페이지 정보

    조회 34회

    본문

    단목령에서  바꾸미들의  왕래(往來)는  1970년대  초반까지  행하여졌으며  그  이후에는 나물을  채취하고  말려서  내려오는  길로  이용되다가  1982년에「설악산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서  1987년부터  입산이  통제되어  단목령은  백두대간(白頭大幹)을  종주하는 사람만이 다니는 길이 되었다.

    도로가 발달한 요즈음엔 양양에서 인제읍 진동리로 가려면 서면 서림리에서 조침령터 널 하나만 지나면 된다. 이로써 단목령을 넘을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그러나  단목령은  여전히  자연이  살아  숨 쉬고  야생화의  천국이자  옛사람들이  등짐을 지고 험한 고개를 넘어 삶을 이어갔던 애환이 남아 있는 곳이다.

    설악산 국립공원은 한반도 자생식물의 20%에 해당하는 854종이 자라고 있다고 하는 데 바로 그 식물이 자라는 가장 중요한 지역이 바로 단목령을 중심으로 펼쳐져 있다. 이런 의미에서 단목령은 유네스코 등재 지역으로 세계에서 주목하는 곳이 되었다.


    31cfaffac3950399aa444a10120340a6_1739178505_6865.jpg

    〈그림 5〉백두대간 단목령 표지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