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고문헌 속 단목령
페이지 정보
본문
단목령은 오늘날까지 이용되는 영로(嶺路)이기는 하지만 생계 수단의 대표적 영로 였기 때문에 공로(公路) 개념과는 거리가 있어 양반이나 문장가가 다니지 않아서 시 문(詩文)에는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양양부에서의 거리와 방향만 표기한 글이 보이 며 기린과의 경계였음을 표기한 것이 전부이다.
가. 관동지(關東誌) 제13권
1829∼1831년 사이에 편찬된 『관동지』에는 ‘영로 연수파령(連水坡嶺)은 양양부 서북쪽 75리에 있으며 오색령⋅필노령(弼奴嶺)⋅박달령은 모두 서쪽 50리에 있는 인제 계(麟蹄界)이다. 소동라령(所冬羅嶺)은 서쪽 60리에 있는 몹시 험한 영로로 옛날에 경 성으로 통하던 대로로 인제계(麟蹄界)이다. 구룡령(九龍嶺)은 서남쪽 65리에 있으며 강릉계(江陵界)이다.’56)라고 기록하고 있다.
나. 청구도(靑邱圖)
1834년 고산자 김정호가 제작한 「청구도」에는 오색령(五色嶺)ㆍ한계산(寒溪山)과 고성(古城:한계산성)ㆍ필노령(弼奴嶺)ㆍ형제현(兄第峴)ㆍ소양치(所良峙)ㆍ양한치(兩寒峙)ㆍ연수령(連水嶺)ㆍ박달산(朴達山)ㆍ소동라령(所冬羅嶺)ㆍ구룡령(九龍嶺)의 기록이 지도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림 3> 「청구도」 의 연수령
다. 대동지지(大東地志)
1866년 『대동지지』 영로조(嶺路條)에는 연수파령(連水坡嶺:미시령)·오색령(五色 嶺)·필노령·(弼奴嶺)·박달령(朴達嶺)·소동라령(所冬羅嶺)·조침령(曹枕嶺)·구룡령 (九龍嶺)·양한치(兩寒峙)·소량치(所良峙)·형제현(兄弟峴) 등 모두 열개의 고개가 열 거되어 있다. ‘오색령·필노령·박달령은 부 서쪽 50리로 인제와 경계이다. 소동라령 은 부에서 서쪽 60리로 옛날에 서울로 통하는 아주 험한 큰길이 있었는데 인제와 경계이다.’57)라는 기록이 있다.
<그림 4> 『대동지지』 권8 양양 영로에 표기한 령(嶺)·치(峙)·현(峴) (자료:규장각한국학연구원)
----------------
56) 嶺路連水坡嶺西北七十五里五色嶺弼奴嶺朴達嶺俱西五十里麟蹄界所冬羅嶺西六十里絶險舊有 通京大路麟蹄界九龍嶺西 南六十五里江陵界.
57) 대동지지 五色嶺 弼奴嶺 朴達嶺 俱西五十里獜蹄界 所冬羅嶺 西六十里絶險舊有通京大路獜蹄界.
-
- 이전글
- 1. 영 이름의 변화
- 25.02.03
-
- 다음글
- Ⅲ. 단목령의 이용실태
- 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