Ⅲ. 각종 지리지로 본 명주사
페이지 정보
본문
『여지도서(輿地圖書)』,『관동지(關東誌)』,『관동읍지(關東邑誌)의 방리(坊里) 편에는 양양부에서 명주사까 지의 거리 50리, 편호 6, 승려 24구로 나타나는데 낙산사 승려가 28구로 별로 차이가 나질 않는 것으로 보 아서 매우 큰 절이었음을 다시 한번 확인된다. 다만, 1759년에 발간된『양양부읍지(屬襄陽府邑誌)』방리(坊 里)에는 명주사(明珠寺)는 관문으로부터 남쪽으로 50리 거리이며 편호 15, 승려 30구이다.라고 기록되어 있 는데 그 2년 전에 발간한 여지도서는 물론 그 후에 발간된 지리서들과 편호(編戶)에서 너무 큰 차이가 있어 오기(誤記)로 보여진다.
또한 사찰조(寺刹條)도『여지도서(輿地圖書)』,『관동지(關東誌)』,『관동읍지(關東邑誌)』가 똑 같은 내용으로 기록되어 있다. 다만,『현산지』사찰조에서 언급한 명주사(明珠寺)라 명명한 연유가 된 스님들의 법명은 후 대인들의 오기(誤記)로 보여진다.
1.『여지도서(輿地圖書)』⇒ 1757년
■ 방리(坊里)
현북면(縣北面) 명주사(明珠寺)는 관문으로부터 남쪽으로 50리 거리이며 편호 6, 승려 24구이다.39)
■ 사찰(寺刹)
명주사(明珠寺)는 부남쪽 50리 오대산(五臺山) 북쪽 기슭 아래에 있는데, 법당 4간, 요사(寮舍)는 이 방(二房)으로 각 10간이고, 벽옥루(碧玉樓)는 10간이다.
- 원통암(圓通庵) : 명주사 동쪽에 있는데 3간이다.
- 보련암(寶蓮庵) : 명주사 북쪽에 있는데 5간이다.40)
2.『양양부읍지(屬襄陽府邑誌)』⇒ 1759년
■ 방리(坊里)
현북면(縣北面) 명주사(明珠寺)는 관문으로부터 남쪽으로 50리 거리이며 편호 15, 승려 30구이다.41)
■ 사찰(寺刹)
명주사(明珠寺)는 부남쪽 50리 오대산(五臺山) 북쪽 기슭 아래에 있는데, 법당 4간, 요사(寮舍)는 이 방(二房)으로 각 10간이고, 벽옥루(碧玉樓)는 10간이다.
- 원통암(圓通庵) : 명주사 동쪽에 있는데 3간이다.42)
3.『관동지(關東誌)』⇒ 1831년
■ 방리(坊里)
현북면(縣北面) 명주사(明珠寺)는 관문으로부터 남쪽으로 50리 거리이며 편호 6호, 승려 24구이다.
■ 사찰(寺刹)
명주사(明珠寺)는 부 남쪽 50리 오대산(五臺山) 북쪽 기슭 아래에 있다. 법당 4간, 요사(寮舍)는 이방 (二房)으로 각 10간이고, 벽옥루(碧玉樓)는 10간이다.
- 원통암(圓通庵) : 명주사 동쪽에 있다. 3간이다. - 보련암(寶蓮庵) : 명주사 북쪽에 있다. 5간이다.
4.『관동읍지(關東邑誌)』⇒ 1867년
■ 방리(坊里)
현북면(縣北面) 명주사(明珠寺)는 관문으로부터 남쪽으로 35리 거리 이며 편호 6호, 승려 24구이다.
■ 사찰(寺刹)
명주사(明珠寺)는 부 남쪽 50리 오대산(五臺山) 북쪽 기슭 아래에 있다. 법당 4간, 요사(寮舍)는 이방(二房)으로 각 10간이고, 벽옥루(碧玉樓)는 10간이다.
- 원통암(圓通庵) : 명주사 동쪽에 있다. 3간이다. - 보련암(寶蓮庵) : 명주사 북쪽에 있다. 5간이다.
5.『강원도양양군읍지1(江原道襄陽郡邑誌一)』⇒ 1899년
■ 찰(寺刹)
명주사(明珠寺) : 군 남쪽 50리에 있다.
6.『현산지(峴山誌)』⇒ 1910대초반
■ 사찰(寺刹)
- 명주사(明珠寺)는 부 남쪽 50리 법수현(法水峴)의 동쪽에 있다. 여러 번 터가 바뀌어‘누역(屢易)’ 이라 불린다.〈고려〉숙종 6년(1101) 신사(辛巳)에 처음 이 터에서 제물을 올리기 시작하였고, 또 명주(明珠)라는 이름은 개명(蓋明)과 여주(與珠) 두 승려가 목대를 잡아 맡았던 연고로 명주라고 불린다.
⇒ 개명(蓋明)은 혜명(慧明)의 오류이고, 여주(與珠)는 대주(大珠)의 오기(誤記).
---------------
39) 明珠寺自官門南距五十里編戶六僧二十四口
40) 明珠寺在府南五十里五臺山北麓下法堂四間寮舍二房各十間碧玉樓十間 圓通庵在明珠寺東三間 寶蓮庵在明珠寺北五間 41) 明珠寺自官門南距五十里編戶十五僧二三十口
42) 明珠寺在府南五十里五臺山北麓下法堂四間寮舍二房各十間碧玉樓十間 圓通庵在明珠寺東三間
-
- 이전글
- 나. 현재의 전각
- 25.01.24
-
- 다음글
- Ⅳ. 명주사의 문헌 분석과 성보(聖寶)
- 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