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명주사의 문헌 분석과 성보(聖寶)
페이지 정보
조회 38회
본문
1. 신앙의 변화
1) 비로자나불과 문수신앙
2) 명주사의 미타신앙
3) 원통암(圓通庵) 창건으로 인한 관음신앙과 미타신앙
2. 명주사의 이건(移建)
3. 명주사의 속암(屬庵)
1) 원통암(圓通庵)
가. 명주사 원통암 상량문(明珠寺 圓通庵 上樑文)
나. 원통암중건기(圓通庵重建記)
다. 원통암의 사액(賜額)과 명주사가 어향각(御香閣)을 지은 사유
2) 청련암(靑蓮庵)과 운문암(雲門庵)
3) 향로암(香爐庵)
4) 벽옥루(碧玉樓)
4. 명주사의 성보(聖寶)
1) 명주사 동종(銅鐘)
가. 대흥사 동종(銅鐘)의 명주사 이안(移安) 내력(來歷)
나. 대흥사명 범종의 주종기(鑄鍾記)와 주종장(鑄鐘匠)
2) 부도군(浮屠群)
가. 부도 12기 현황
나. 문화재(文化財) 도난(盜難)
다. 부도와 비문(碑文)으로 본 명주사의 역사
가) 연파당대선사(蓮坡堂大禪師)의 비(碑)와 부도(浮屠)
나) 인곡당선사비명(麟谷堂禪師碑銘)
다) 학운당태선사정원(鶴雲堂太禪師正原) 영세불망비(永世不忘碑)
라) 용악당대선사비(聳岳堂大禪師碑)
-
- 이전글
- Ⅲ. 각종 지리지로 본 명주사
- 25.01.24
-
- 다음글
- 1. 신앙의 변화
- 25.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