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광산촌 철광 문화축제
페이지 정보
본문
1) 축제목적
(1) 폐광으로 인한 낙후 된 이미지를 탈피하여 새로운 관광명소로서 마을 주민의 소득 증대
(2) 영화 알바트로스의 영화 촬영지로도 활용되었고, 일제시대부터 양양철 광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이를 관광 자원화 하여 낙후된 마을의 이미지 제고 필요.
(3) 차별화된 철가루 문화체험 프로그램을 시행하여 지역 특색을 알릴 수있다.
2) 축제개요
(1) 축 제 명 : 추억의 양양철문화 축제
(2) 축제기간 : 6.30 ~ 7.1(2일간)
(3) 축제주관 : 강원도 양양군(장승2리)
(4) 축제시행 : 철산마을 축제추진위원회(양양군 서면 장승2리)
* 후원기관 : 한국농어촌공사 강원지역본부
(5) 위 치 : 양양군 서면 장승리 270번지 일원
3) 축제연혁
(1) 축제연역 및 역사
① 장승리 철산마을은 일제 때 처음 광산이 생기면서 번성했던 마을이었 으며 특히 60, 70, 80년대에는 각종 문화시설(목욕탕, 병원, 교회, 상가 등)이 즐비하여 양양의 생활 중심지로 그 명성을 알렸다고 함.
② 90년대 이후 폐광으로 인한 그 명성이 사라졌지만 낙후된 지역 이미지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민들의 열망으로 인하여 2011년에 제1회 철문화 축제를 개최하여 큰 성과를 얻기도 하였음.
(2) 지명유래
① 장승리의 유래 장승리(長承里)는 임천리와 수상리와의 경계에서 수상리 뒷산 능선으로 오색령으로 가는 큰 길이 있는데, 진등을 이어 마을이 되었다고 하여 장승리라 명명하였다. 우리나라 제일의 자철광 산지로 유명했던 장승리는 '여지도서' 양양부편에 의하면 영조 35년(1759)에는 장생리로 불렸던 기록이 있음.
② 양양광산 역사 장승리의 양양광산은 생산량이나 규모 면에서 국내 최대의 자철광산(磁 鐵鑛山)으로, 평균품위 Fe 58% 정도의 철광석을 생산하였다. 지질은 편마암·섬장암·변성퇴적암과 후기 관입암류(貫入巖類)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접촉광상(接觸鑛床)으로 광맥이 일정하지 않고 변동이 심하며, 경사는 북동(北東)으로 50∼70°이다.
일제강점기인 1938년부터 일본인들에 의해 소규모로 개발되다가, 1941 년부터 태평양전쟁에 필요한 무기를 조달할 목적으로 본격적으로 개발 되었다. 채광된 철광석은 속초항을 통해 일본으로 가져갔으며, 8·15광복 후 폐광되었다가 1956년 국유화되면서 다시 가동되었다.
이후 일본 수출, 포항종합제철소로 반출되는 등 연간 35만 톤의 생산량을 유지하면서 국내 철광석 생산량의 60% 이상을 차지하였으나 광업의 침체와 인력 부족으로 생산량이 격감하여 1991년에는 13만 톤만이 생산되었다가 폐광되었다.
최근에는 액정표시장치(LED) 등을 만드는데 필요한 희소금속인 희토류 (稀土類:rare earth metal)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 2012년부터 다시 양양철광이 재가동 될 예정임.
4) 주요행사내용
(1) 체험프로그램
① 광산체험
○ 행사내용 : 광부복장 착용, 갱차밀기 체험, 폐갱도 견학 등
○ 기대효과 : 광부복장 착용과 갱차밀기 체험을 통하여 옛 추억과 과거 광부들의 노고를 경험할 수 있음.
○ 철가루와 자석을 이용한 그림그리기 체험
○ 행사내용 : 철가루를 이용한 그림그리기
○ 추진방법 : 만들어진 작품은 코팅처리하여 개인이 소장할 수 있도록 함.
② 추억의 놀이체험
○ 행사내용 : 쇠구슬치기, 제기차기, 굴렁쇠 굴리기, 투호놀이 등
○ 추진방법 및 기대효과 : 추억의 놀이를 통하여 어린시절 추억을 느낄수 있도록 행사추진
③ 거꾸로 가는 모래시계 만들기 체험
○ 추진내용 : 일반적으로 위에서 아래로 떨어지는 모래시계를 자석과 철가루를 이용하여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는 모리시계를 만듬.
○ 기대효과 : 특색 있는 과학 원리를 이용한 모래시계로 현재 특허청에 특허를 출원한 상태임.
④ 자석달리기 대회
○ 추진내용 : 자석을 이용한 달리기 대회 개최
○ 기대효과 : 자석을 이용한 과학체험 및 침착성을 배울수 있음.
⑤ 철부지 철들기 체험
○ 추진내용 : 화강암과 철광석의 무게를 비교 체험함.
○ 기대효과 : 철이 없는 아이들이 철광석을 들면서 철의 무게를 느낄수 있도록하여 철들기(철을 들게함)를 할 수 있음.
⑥ 카바이드와 간드레(과거의 랜턴) 사용 체험
○ 추진내용 : 광부들이 갱도 또는 집에서 카바이드 와 간드레를 활용하여 했던 각종 삶의 방식을 재현하는 체험
○ 기대효과 : 과거의 광부들이 생활상을 체험할 수 있음.
<사진 6-21> 철광문화축제장
(2) 행사프로그램
① 추억의 영화상영 및 강연
○ 행사내용 : 60, 70연대 추억의 영화를 상영하는 행사
② 무성영화 상영 및 변사 경연대회
○ 행사내용 : 전문변사를 통하여 무성영화 상영하고 관람객들이 직접 변사경험을 하는 행사
③ 마술공연 및 경연대회
○ 행사내용 : 마술사를 초청하여 진행하며 관광객들이 직접 참여하는 마술대회도 개최
④ 자건거 타고 페광지역 견학, 추억의 보물찾기 행사
○ 행사내용 행사장을 출발하여 폐광지역을 돌아보면서 보물을 찾는 행사이며 보물을 찾는 체험객들에게 각종 기념품 제공
⑤ 기타행사
○ 행사내용 : 사진전시회, 도독놈 밥상 먹기 등
5) 축제지역 내 인구 및 가구현황
○ 인구 및 가구 현황
6) 예상 내방객 및 축제효과
○ 내방객
(1) 축제효과
① 계량적 효과
○ 농산물 판매량 증대로 인한 직 ․ 간접적 농업소득 향상 : 12백만원
○ 도농교류 활성화 기여 (1사 1촌 자매결연 증가) : 6개 업체 ․ 기관/17회 * 정선 하이원과 한전산업개발과 협의중
○ 축제행사 개최로 인한 지역을 찾는 관광객증가 : 5천명/2011년도
② 비계량적 효과
○ 자연자원을 최대한 활용하여 외지인들이 양양철광의 옛 명성을 느낄 수 있는 체험위주의 관광 자원을 개발하여 시너지 효과 극대화
○ 축제로 인한 지역 홍보효과 : 귀농 ․ 귀촌지로 선호도 증가
○ 체험프로그램 개발로 농외소득원 개발
○ 마을단위 축제로 마을 주민 간 화합도모
※ 강원도주관 새 농어촌건설 우수마을로 선정 (상사금 : 5억원)
<사진 6-22> 철문화축제마을 연말총회(2012.12.30)
-
- 이전글
- 4. 폐광이후 삶의 모습
- 24.02.22
-
- 다음글
- Ⅶ. 구룡광산
- 24.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