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설악산 시문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설악산 시문

    신라의 석각(羅麗石刻)

    페이지 정보

    조회 308회

    본문

     

    ▪ 신라의 석각(羅麗石刻)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



     사집 성대중(成士執大中: 사집은 대중의 자)이 일찍이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사설(僿說)』중에 기록된 고비(古碑)의 기록들을 내가 영남(嶺南)의 고적(古蹟)을 부탁한 적이 있었다. 다음과 같다.

     삼한(三韓) 이전의 것은 상고할 길이 없으나 그 이후의 것은 근세에 왕손 낭선군(朗善君)이 편집한 『대동금석록(大東金石錄)』에 거의 다 실려 있다.

      경주(慶州)에는 「태종무열왕릉비(太宗武烈王陵碑)」와 대각간 「김유신묘비(大角干金庾信墓碑)」가 있다.


     삼수현(三水縣)에는 초방원비(草方院碑)가 있으니 바로 신라(新羅) 진흥왕(眞興王)의 순수(巡狩)를 새긴 것이다. 생각건대 실직(悉直)이 처음에는 신라에 소속되었다. 그렇다면 영동(嶺東)의 땅도 다 옛날에는 신라의 소유였고 동시에 철령(鐵嶺)의 밖까지도 그 순수가 미쳤던 모양인데, 그후 고구려가 땅을 개척하여 바다에 미치게 되어서는 다시 이 땅을 차지하지 못했던 것이다.

     부여현(扶餘縣)에는 평백제탑명(平百濟塔銘)이 있는데 이는 당(唐)나라 소정방(蘇定方)이 세운 것이고, 또 평제비(平濟碑)가 있는데 이는 당(唐)나라 유인원(劉仁願)이 세운 것이다.

     진주(晉州) 지리산(智異山)의 단속사(斷俗寺)에는 신행선사비(神行禪師碑)가 있는데 승(僧) 영업(靈業)이 쓴 것이고, 쌍계사(雙溪寺)에는 진감국사비(眞鑑國師碑)가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비문을 짓고 직접 쓴 것이다.


     양양(襄陽) 설악산(雪嶽山)에는 홍각선사비(弘覺禪師碑)가 있는데 왕우군(王右軍)은 왕희지(王羲之)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이다.

     합천(陜川) 가야사(伽倻寺) 홍류동(紅流洞)에는 최치원(崔致遠)의 시각(詩刻)이 있고, 보령(保寧) 성주산(聖住山)에는 명혜화상비(明慧和尙碑)가 있는데 최치원이 지은 것이다.

    광양(光陽) 백학산(白鶴山) 옥룡사(玉龍寺)에는 도선비(道詵碑)가 있고, 봉화(奉化) 태자산(太子山)에는 낭공대사백월서운탑비(朗空大師白月棲雲塔碑)가 있는데 김생(金生)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이다.

     문경(聞慶) 희양산(曦陽山)에는 지증선사비(智證禪師碑)가 있는데, 이는 최치원이 비문을 지은 것이다. 이상은 모두 신라(新羅)의 고적이다.

     원주(原州) 건등산(建登山) 흥법사(興法寺)에는 진공대사비(眞空大師碑)가 있는데, 당 문황(唐文皇 문황은 당 태종(唐太宗)을 말한다)의 글에 고려 태조의 글씨로 된 것이다.

    영암(靈巖) 월출산(月出山)에는 도선(道詵)의 창사비(創寺碑)가 있고, 직산(稷山) 소사평(素沙坪)에는 홍경사비(弘慶寺碑)가 있고, 금산(金山) 황악산(黃岳山) 직지사(直指寺)에는 대장당기(大藏堂記)가 있는데 왕우군(王右軍)의 글씨를 집자(集字)한 것이다.

    의흥(義興) 화산(華山) 인각사(麟角寺)에는 선각국사비(善覺國師碑)가 있는데, 민지(閔漬)의 글에 왕우군의 글씨를 집자한 것이다.

     고성(高城) 삼일포(三日浦)에는 매향비(埋香碑)가 있고, 양주(楊州) 천보산(天寶山) 회암사(檜巖寺)에는 나옹화상비(懶翁和尙碑)와 지공대사비(指空大師碑)가 있는데 모두 이 색(李穡)의 글로 된 것이다. 또 본조(本朝 조선) 무학(無學)의 비가 있다.

     임천(林川) 보광사(普光寺)에는 원명국사비(圓明國師碑)가 있는데 원(元) 나라 게 게법의 글씨에 위소(危素)의 글이다.”

    사집(士執)이 말하기를,

     충추(忠州) 개천(開天) 내촌(內村)에 있는 개천사비(開天寺碑)는 진(晉) 나라 천복(天福 후진(後晉) 고조(高祖)의 연호 연간에 세운 것이고, 금천(衿川) 안양면(安養面) 염불암(念佛庵) 아래에는 깨어진 안양사비(安養寺碑)가 있다. 이는 고려 초의 것이라고 하였다.


    『靑莊館全書』




    「羅麗石刻」


    成士執大中. 嘗錄示星湖李氏瀷僿說中所記古碑. 使我求嶺南古蹟. 有曰. 三韓以前. 無所考. 近世王孫朗善君所輯. 大東金石錄. 殆無遺漏. 慶州. 有太宗武烈王陵碑. 大角干金庾信墓碑. 三水縣. 有草方院碑. 卽新羅眞興王廵狩記. 意者. 悉直始屬於新羅. 則嶺東之地. 皆古所有. 而鐵嶺之外. 亦有廵狩所及也. 後句麗拓地傳海. 則不復有此矣. 扶餘縣. 有平百濟塔銘. 唐蘓定方所立. 又有平濟碑. 唐劉仁願所立. 晉州智異山斷俗寺. 有神行禪師碑. 釋靈業書. 雙溪寺. 有眞鑑國師碑. 崔致遠撰幷書. 襄陽雪山. 有弘覺禪師碑. 集右軍書. 陜川伽倻寺紅流洞. 有崔致遠詩刻. 保寧聖住山. 有明慧和尙碑. 崔致遠文. 光陽白鶴山玉龍寺. 有道詵碑. 奉化太子山. 有朗空大師白月棲雲塔碑. 金生書. 聞慶曦陽山. 有智證禪碑. 崔致遠文. 以上皆新羅古蹟. 原州建登山法興寺. 有眞空大師碑. 唐文皇書. 麗太祖文. 靈岩月出山. 有道詵創寺碑. 稷山素沙坪. 有弘慶寺碑. 金山黃岳山直指寺. 有大藏堂記. 集右軍書. 義興華山麟角寺. 有善覺國師碑. 閔漬文. 集右軍書. 高城三日浦. 有埋香碑. 楊州天寶山檜巖寺. 有懶翁和尙碑, 指空大師碑. 皆李穡文. 又有本朝無學碑. 林川普光寺. 有圓明國師碑. 元揭奚斯書. 危素文. 士執云. 忠州開天內村開天寺碑. 晉天福年間所立. 衿川安養面念佛菴下. 有安養寺破碑. 麗初物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