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蘘陽의 漢詩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蘘陽의 漢詩

    341. 유금강산록(遊金剛山錄) 이동표(李東標) / 한문 원문과 저자 소개

    페이지 정보

    조회 25회

    본문

    余登金剛山.縱觀萬二千峯上上臺.東臨大海.然後知天下之山小也.金剛山.一名皆骨.一名 楓嶽.世以爲蓬萊山.非在海中.卽此山.是也.或曰非也.世莫得以辨也山在東海上.盤居 數十百里.以其趾散落於東海之濱.蜿蟺磅礴.去而復旋.合沓迴轉.列而爲峯者.號一萬二 千.皆白石骨立.石間不生草木.往往楓樹生之.然不能掩其白.故望之疑爲白雲焉.山中多靈 眞異跡.浮屠氏傳誦之.然不可信.

    其始路.險不通.東海一面.特甚.中古開雁門岾一路.崖缺處.人斬木爲橋棧.猶時絕不通. 行者夤緣石磴.或攀絙索膝行.跌則轉而入于㴱淵.以故遊觀之士.罕得幸而至焉.

    最上毗盧峯.峯上常有雲氣.遊人至其顚.輒暴風雨晝晦.人懼不敢上.上則可望國都.以及西 海.北望鐵關嶺.以及肅愼氏之墟.南臨太白.以及新羅百濟之郊.其東海日月之所沈浮.鯤鵬 之所遊戲.而所謂萬二千峯者.四面環立而嚮之.如兒孫列侍.然毗盧峯北出而爲永郎岾.又 西折爲放光臺.其下正陽寺.寺在山半.極高敞.其前有歇惺樓.又其南爲天逸臺.臺不甚高.

    然勢絕據南北之虛.突出當中.故能盡得內山之勝在眼前.遊山者至此.則觀止矣.

    余以上之十六年庚午歲.蒙恩出守襄陽 奉大夫人以行.過竹嶺.窺五臺.登大關嶺.遊鏡浦 臺. 旣至官. 無事日. 放浪山海間.

    八月己巳.病新愈. 決策爲金剛之遊.柳進士日祥.自嶺南至. 其人能詩.與余善.遂同行發峴 山.過降仙驛.入清澗亭.登萬景臺.暮抵杆城宿焉.太守鄭聲遠.爲設小酌.明日宿大康驛. 又明日至高城

    自襄至此海. 行凡二百餘里.歷青草湖 永郎湖. 廣湖. 蘇湖. 仙遊潭. 花津湖. 鑑湖. 往往鳴沙 軋軋. 沙上碧松萬株. 海中島嶼. 松篁鬱然. 或石峯詭恠. 泛彩船南江. 登海山亭. 亭東臨海. 海門有七星巖.列立波間.皆玉色.西望金剛九井峯.插入雲中.世謂岳陽樓.爲天下壯觀者. 以其有七百里之洞庭.而中峙一君山也.今是亭也.傍大海.挾金剛山.水之大且奇.宜無與相 角.而鑑湖.三日浦.叢石諸名勝.又從而棊列其傍.惜其處天下之絕域.不爲天下文章鉅公. 登覽而表章之.如岳陽焉.則可慨也.

    到三日浦.船閣岸不下.遂轉入夢泉庵.庵在三日浦湖上.三日浦者.世傳四仙於此遊三日.故 以名湖.湖中小島.石上有四仙丹書.又其東.有四仙亭.先祖松齋公.嘗按節.題詩其上.今 其板尚在云.

    暮遇雨.入鉢淵寺.寺在九井峯之東. 寺僧以故事躶入淵.從石間.隨瀑布.轉身疾下.以爲觀. 余惡其以人戲也. 止之.

    翌日雨歇.循山而南行五十里.折而北.至百川橋. 山僧以二肩輿待之. 蓋自是路險.不復騎 矣. 舍馬乘肩輿.行楓林中.水聲激激. 瀉出崖壑中.問僧前路. 指白雲間.令人已有出塵之想 矣. 遇險卽步行.暮登狗帖.其上有廬偆井.語誕不足微.少坐石上.囘望三日浦. 夕陽半山. 其外海波萬里.風帆交其中.踰獐項.過三峽橋丹楓橋.至明月橋.色滿山.山影隱隱.入山映 樓. 樓在榆帖寺前. 跨石梁爲樓. 水從樓底. 過樓. 前古栢千章. 夜宿寺中. 達曙聞鐘聲聲.

    遲明.乘藍輿. 歷虛谷庵.行六七里.石路嶔崎.樹林益葱蔚.不見天日.皆蕭森疎爽.無世俗 氣. 水流其間.有戛玉響. 時見丹楓.赤如血可愛.僧言山中無惡獸.人夜行不憚. 獵者不敢入 山逐殺獸.殺輒暴疾以死.午登雁門岾. 望見毗廬峯.雁門以西.山益奇色白.所謂內山者也. 以東爲外山.自是路益險.巖壑㴱邃.峽束亂石錯置縱橫.人從石牙上行.雁門至長安三十里. 皆然.過日觀月觀峯下.經妙吉祥古址.入摩訶衍庵.摩訶衍.在衆香城下.空無僧.過獅子峯. 歷火龍潭船潭龜潭眞珠潭碧霞潭白龍黑龍潭.潭上石鷹峯.崖下普德窟.立鐵柱架空以樓之. 今廢不居.由大小香爐峯下至仙游巖.水益噴薄奔放.所謂萬瀑洞也.一名青鶴洞.其上青鶴 臺.舊有青鶴樓.其上自通雁門路.青鶴移入白馬峯云.石上多古今人刻名.楊蓬萊八大字.刻 在水中石.字體飛動

    峽盡過石門.入表訓寺.小憩.促上正陽寺.夕陽已過放光臺矣.一老僧前曰.天新雨.山中無 雲.面面峯巒可數.天逸臺.願急登.不可以待佗日.從之.遂直抵天逸臺.至則衆峯森羅眼前.

    遠者縹緲天表.近者拱揖臺下.大者莊嚴刻削.小者妍好巧妙.尖者如卓筆如列戟.圓者如樽 罍

    如庫廩.呀然缺者如城堞.突然峙者如覆鍾.橫者如偃旅疊障.竪者如端笏束筍.隱者如靜 女窺牖露半面.顯者如端士整帽倚繩床.離立者如仙童.偃蹇者如老宿.降而前者如辤樓下殿. 騰而踔者如躍虎跳龍.往者如返.來者如復.如俯如仰.如拜如舞 如向如背.如起如伏.如聚 如散 如進如退.如倒而墜.如走而馳也.而毗廬峯.魁然特立爲宗.嚴重可敬. 摠而言之.如 白雲萬疊.浮出海中.奇形恠狀.不可殫述.柳君顧笑謂余曰. 不如是.何以爲金剛山者耶.今 眞見之矣.豈不爲千古一快.余

    回到寺不入.直上歇惺樓.樓中所見. 與天逸略同. 余樂之甚.久不能去.俄而忽雷聲起西北. 黑雲踰衆香城以下.巖壑晦冥.電光閃鑠. 大風雨陵谷震動.萬藻轟轉如雷.餘曰. 壯哉.今夜 是中秋月色可得見耶.寺僧曰. 驟雨也. 且止矣. 小頃. 雨止.

    夜二鼓.月色如晝.雲盡.柳君起.攬衣呼余.急出樓上觀焉.千巖萬壑.胱朗灑落.衆香城以 南.至望高臺.依俙然若白雲漫山.亟呼酒酌數巡.是夜宿寺中.魂骨俱淸.不能寐朝.乍雨乍 晴.雲霧吐吞.已而日光穿漏.彩霞隱映. 氣像萬千.寺僧出示懶翁衣鉢.寺有六面無梁.閣壁 上佛像.有吳道子畫.

    暮下山.歷三莊庵.表訓寺.白華庵.過鳴淵.宿長安寺.翌日.還向榆咕.迤從外水岾路.歷金 莊庵古址.登外水岾. 西望斷髮嶺.從西行入山者.登此嶺.始見山.洪恥齋遊山記.三軍縞素 劎戟相向者.蓋實錄也.我 世祖駕行時.壇壝在云.小坐嶺上.午飯.食已促下嶺.山中勝觀. 至是已窮矣.然猶雲壑窈窕.丹絲相映.可喜.左轉入榆岾寺宿.翌日欲東登隱仙臺.以望十二 瀑.觀松林窟.不果. 遂從狗岾出山.至百川橋.乘馬出大康驛.

    傍海行三日而至東海神廟.以朝命祀東海神.平明.出海岸.不可一二數卽無論五嶽如天台雁 蕩青亦一壯觀. 還至縣. 謁慈闈. 略敘所見.

    噫.天下之山.巍然高而大者.不可一二數.卽無論五嶽.如天台雁蕩青城.皆以仙窟聞天下. 然自古今.傳記所載不聞.所謂萬二千峯者.而又有大瀛海以環其外. 神剜鬼刻.玉雪紛錯.若 是者. 蓋天下莫能伍也.而說者以爲有蓬萊之稱. 中國人至願生東國一見之焉. 余是何人. 拔 出塵埃之中.浮遊汗漫之表.窮搜獨往一日.而盡天下之大觀.風雷雲月.頃刻萬變.以相代于 前者.若有以陰相之.何其快哉.雖然古之所謂山水之樂者.豈謂其隆然而高.坎然而流者哉. 其必有所樂乎中者.吾輩於此.盍相與勉之.是行也.各賦詩以記所見.凡得若干首.其遊歷. 有未暇窮者.姑留之以待異日.是歲八月日. 書于峴山館之太平樓

    「遊金剛山錄」-『懶隱集』

     

    이동표(인조 22년, 1644년~숙종 26년, 1700년)의 본관은 진보(眞寶)이고 자는 군칙(君 則)•자강(子剛), 호는 나은(懶隱)이다. 숙종 1년(1675년) 진사가 되고, 1684년 증광문과(增 廣文科)에 을과(乙科)로 급제, 검열(檢閱)에 등용되고 영의정 권대운(權大運)의 천거로 전 적(典籍)에 승진했다. 부수찬(副修撰)이 되어 1689년 기사환국(己巳換局) 때 인현왕후(仁顯王后)의 폐위를 반대하다가 화를 입은 박태보(朴泰輔)•오두인(吳斗寅) 등을 신구하다가 숙종 16년(1690년) 5월에 양양부사(襄陽府使)로 좌천당하였다. 그러나 경학(經學)에 밝은 선비라 하여 곧 헌납(獻納)으로 기용되었다. 그 후 이조 좌랑(吏曹佐郎)으로 있을 때 권 신의 무능한 자제를 청환직(淸宦職)에 임용하려는 판서와 충돌, 사직하고 낙향했다가 다 시 승지(承旨)를 지냈다. 사간원헌납•이조좌랑•홍문관교리 등에 임명되었으나 그때마다 사직하고 귀향하였으므로 사람들은 소퇴계(小退溪)라 일컬었다. 낙향한 뒤에도 계속하여 사헌부집의•호조참의 •삼척도호부사 등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으며, 사직의 상소 와 함께 그때마다 직언으로 시정의 개선책을 건의하였다. 영조 17년(1741년) 이조판서에 추증되었으며, 현종 11년(1845년) 예천의 원산서원(元山書院)에 봉안되었다. 저서로는 『나은문집』이 있다. 시호는 충간(忠簡)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