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에서 영서를 잇는 백두대간의 영(嶺)

    Ⅴ. 맺는 말

    페이지 정보

    조회 34회

    본문

    진동리에서  군사도로로  정상  삼거리에  올라  단목령  방향으로  150m를  가면  헬기장이 나오고, 다시 100m를 더 이동하면 1984년에 공병여단에서 만든 조침령 표지석이 나온 다. 이곳에서 50m를 더 가면 2007년 10월 25일 인제 국유림관리소에서 세운 ‘백두대간 조침령(鳥寢嶺)이라고 쓴 대간석(大幹石)에 이르게 된다.

    대간석 뒤편에는 백두대간 조침령(770m)은 백두에서 지리산까지 1,400㎞의 중간지점 이라  새겨있다. 그러나  산림청은“전체  백두대간의  정중앙지점은  북한의  강원도  평강군 이다.”고 밝혔다.

     

     

    o1.jpg

    〈그림 11〉2007년 산림청이 세운 조침령 표지석

     

    『정감록』에서는 강원도 홍천과 인제의 골짜기 중 일곱 곳을 들어“3둔 4가리”라 하였다. 흉년과 전염병이 없고, 전쟁과 환란을 피할 수 있는 유토피아, 우리나라 최고의 피난 처가 바로 우리군의 영로와 연결된 장소들이다.‘둔(屯)’은 골짜기가 깊어 사람 몇이 숨 어 살 만한 작은 은둔처를 가리키고,‘가리〔耕〕’는 화전을 일구어 밭갈이할 만한 곳으로, 난세를 피해 식량을 해결할 수 있는 곳이다. 3둔은 구룡령 너머로 내린천 상류인 홍천군 내면에 있는데 살둔(生屯), 달둔(達屯), 월둔(月屯) 세 곳을 지칭하고, 4가리는 박달령, 북 암령, 조침령 너머의 인제군 기린면의 진동계곡인 진동리와 방동리에 있는데 아침가리 (朝耕洞), 연가리(煙耕里), 적가리(適巖洞), 명지가리〔큰 소(沼)가 있던 마을로 명지동(明 池洞)〕이다.

    영로의 확·포장으로 이제 신비의 3둔4가리도 세상을 헤집고 나올 날도 머지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