Ⅳ. 양양 오색령 지명복원
페이지 정보
본문
조선 중기를 전후하여 소동라령(所冬羅嶺)이 도로의 기능을 상실하자, 오색령은 새 로 개척한 영로로 분명히 소동라령과는 별개의 지명이다. 여지도(輿地圖, 1736∼1767) 등에는 오색령과 소동라령은 전혀 다른 위치에 표기되어 있다.
<그림 15> 고대로(古大路)가 표기된 오색령과 한계령이 표기되어있는 「동여도」
북쪽의 오색령은 설악산의 주봉에 가장 가까이 있으며 소동라령은 오히려 구룡령에 인접하고 있어 두 영(嶺)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설악산의 주봉에 근접 한 오색령의 위치로 볼 때 지도상의 오색령은 현재의 한계령임이 분명하다.
반면 한계령이란 명칭이 동여도에 표기되었다가 대동여지도에서는 삭제되었는데 동 여도(東輿圖) 상에 표기된 한계령로는 행정구역 개편 이전의 양양군 소천면(所川面, 지금은 속초시) 지역이다.
오색령에 대해 조선 시대에는 확고한 문헌상 출처가 확보되어 재론의 여지가 없었 으나, 1915년경 일제가 한반도 침탈을 목적으로 만든 1/50,000의 지도에 오색령 대신 한계령을 오기(誤記)한 것을 광복 이후에도 고치지 않고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다.
<그림 16> 일제강점기 1/50000 지형도와 인제군세일반 관내도
일제강점기 동안 발행된 조선총독부의 기관지인 매일신보에는 양양군 주관으로 오 색령 도로를 2등 도로로 만들기 위해 영서 4개 군(춘천, 홍천, 양구, 인제)의 협조하 에 강원도청에 군(郡)별로 진정서를 제출하였고, 영동의 강릉, 삼척, 울진군에서도 적 극적으로 찬성하여 강원도로부터 도로 개착 승낙을 받기 위하여 무진 애를 썼지만 결 국 2등 도로로의 승격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도내의 7개 군이 양양을 지정학적으로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당시 오색령이 2등 도로가 되어 영이 열리면 인접한 군들 이 경제적으로 얼마나 큰 이익을 얻는가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당시 홍천군의 진정서에는 “본 지방은 대 시장인 원주의 중계지가 되어 양쪽 의 물자는 홍천을 경유케 되는데 속된 말로 홍천은 양양 물화의 전시장이라 한다. (중략) 일선(一線)은 오색령을 넘어야 인제군을 통과하는 바, 지금은 차량이 통과하지 못하는 까닭이지만 만일 차량이 통과된다면 통상(通商)이 활기차게 번창할 것이 극명 하다.”32)고 오색령 개통의 당위성을 주장하였다.
이 당시 모든 도민은 “오색령”이라는 표현을 썼으며 인제군민 800명도 진정서에 오색령을 2등 도로로 개착해 줄 것을 요구하였지 한계령을 개착해야 한다는 주장은 한 줄도 없었다.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 1959년에 국무원에서 전국의 지명을 조사하였다. 당시 인 제군 북면에서 보고된 조사 서식을 보면 지도상에 기재된 지명, 경·위도, 좌표, 지명 유래 순으로 기록이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인제군에서는 지도상에 한계령이 표기되어 있었기에 보고 할 수 있었으나 양양군 오색령은 지도상에 누락이 되어 있어 보고할 수조차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제군 북면사무소에 근무하는 공무원 ○○○씨가 보고한 한계 령의 지명유래를 보면 “영동과 통하는 오색이영의 낮은 영으로써 한계 지역에 있다 하여 한계령이라고 하나 오색이영 이라고도 함.”라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오색령은 높 은 영이고 한계령은 인제군의 한계리 지역에 있는 낮은 영이라고 인제군 스스로가 자 인(自認)한 것으로 이것이 팩트(Fact)다.
<그림 17> 오색령 삭도 조감도
이상을 종합할 때 소동라령과 오색령은 별개의 위치에 있었다는 것과 일제강점기에 오색령 명칭이 한계령으로 변경되었다는 것은 명백하다. 지명 옛 문화를 간직한 인문 학적 유산임을 감안하여 역사적으로 고증된 자료를 토대로 잘못된 기록을 바로잡아서 후손들에 물려주는 작업은 꼭 필요하다.
44호선 국도가 자리를 잡으면서 국도 노선 내에 포함되어 있는 오색령은 한계령이 공식 명칭이 되면서 모든 교통 표지판이 한계령으로 표기되어 안타까울 뿐이다.
그러나 남설악을 중심으로 양양군민의 41년 숙원인 “오색케이블카”가 2026년부터 상업 운전에 들어가면 “오색”이란 지명과 함께 “오색령”도 세상에 널리 알려져 옛 영 광을 되찾을 것으로 보인다.
-----------------
32) 五色嶺道路 開鑿과 洪川郡民의 希望(1923. 2. 8.) 陳述書 3. 本郡과 襄陽郡과는 古來 密接의 關係가 有한바 山地인 本郡과 沿海인 襄陽과는 物資交換 有無相通은 自然의 勢라 云하겟스나 本地方의 大市場인 原州와의 中繼地가 되 야 兩方面의 物資는 當地를 經由케됨으로 俗語에 洪川은 襄陽의 出品場이라 云함에 其關係는 可以 推知할바이라 함. 兩地間에는 道路가 二線이 有한바 一線은 五色嶺을 越하야 麟蹄郡을 通過하는바 何時던지 車輛이 不通하는 故로 一朝車道의 開通이 될 바에는 通商 殷賑을 極할바이라함.
-
- 이전글
- 2. 해방 이후 오색령(한계령)의 변화
- 25.02.05
-
- 다음글
- Ⅴ. 맺는말
- 25.0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