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지방의 영(嶺)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지방의 영(嶺)

    1. 필여령의 유래와 지명의 변화

    페이지 정보

    조회 31회

    본문

    필여령(弼如嶺)은  본래  필례령이었으나  '례'를  이두(吏讀)로  문자화(文字化)하는  과 정에서 '여(如)' 또는 '노(奴)'로 표기한 것이라고 한다.

    필노령(弼奴嶺)은 노력을 아끼는 고갯길로 “지름길”이란 뜻이 있는데 오색령에 비하 면 필여령이 지름길이었던 셈이다. (옛날에는 奴를 努의 의미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다른 설(說)로는 옛날부터 필례약수 위쪽의 넓은 터에 큰 마을이 있었는데 모두 난 리(亂離)를 피해 모여든 사람이라는 뜻으로 피래(避來 : 난을 피해서 오다)라 부른 것 이 필예(必曳 : 모두에 이끌리다)로 변하였으며 결국 은둔(隱遁)의 계곡(溪谷)이 되었 다 한다.

    1916년 행정구역 통합으로 귀둔리(貴屯里)로 바뀌기 전까지도 마을 이름은 피래(避 來)였다. 그러던 것이 언제부터인가 필례로 변하였는데 1917년에 제작된 지도에도 필 례(必禮)로 등재되었고 지금은 “필례령(必曳嶺)”이 공식 지명이 되어 약수도 “필례약수 (必曳藥水)”로 표기한다. 그러나 지방민들은 여전히 “피례” 또는 “피래 고개”라고 부른 다.

    양양군 서면 오색리 필례령 입구 삼거리에서 인제군 인제읍 가리산리까지 10.7km 의 2차선 도로가 필례로(必曳路)로이다. 필례로는 44번 국도가 막힐 때 우회로로 이 용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