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광부의 일과
페이지 정보
본문
1) 광부의 분류
광부는 크게 막장에서 일하는 갱내부(坑內夫)와 난장에서 일하는 갱외부(坑外 夫)로 나눈다. 갱내부는 다시 직접부와 간접부로 나눠지는데 직접부에는 채광공과 굴진공 등이 있고 간접부에는 보갱공, 보선공, 운반공 등이 있다. 그리고 갱외부는 선광공, 기계공 기타 기능공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2) 근로자의 일과
(1) 출 근
철광에서 일하고 있는 광부는 모두 하루 8시간씩 3교대로 일한다. 광산촌에서 이것을 갑방, 을방, 병방 출근한다고 한다.
갑방(甲方)은 오전 8시에 막장에서 교대하는 작업조를 말한다. 이들은 대개 집에서 오전 6시 30분에 출발하여 통근버스를 타고 철광 현장에 도착한다. 입갱 하기 전까지 옷을 갈아입고, 도구를 챙기고, 감독으로 부터 작업배치를 받는다.
작업 배치를 받은 다음 막장까지 걸어들어 가거나 인차(人車)를 타고 가거나 한다. 점심시간이 되면 갱 속에서 가지고 간 도시락과 물을 먹고 오후 4시가 되면 을방과 교대한다.
을방(乙方)은 오후 4시에 갱내휴게소에서 교대하는 작업조를 말한다. 이들은 오후 2시 30분쯤에 집을 떠나며, 자정에 막장에서 병방과 교대한다.
병방(丙方)은 자정에 막장에서 을방과 교대한다. 그러기 위해 광부들은 밤 10 시 30분에 집을 나서야 한다. 그리고 아침 8시에 갑방이 갱 속으로 들어올 때까지 일을 한다.
이렇게 하루 삼교대로 일을 하는 광부들은 보통 한 달에 2-3번씩 밖에 휴일을 갖지 못했다. 따라서 중노동에 지쳐 결근하는 일이 있는데, 철광회사는 이것을 막기 위해 만근수당제라 하여 라면 1박스와 밀가루 1포씩을 지급하였다.
<사진 6-1> 갱내휴게소
(2) 입 갱
감독은 작업배치를 하면 광부들은 맡은 일에 따라 막장에 들어가거나 갱 밖에서 일하게 된다. 갱 속에서 일하는 광부들은 입갱하기 전에 광차(鑛車)에다 그날 할 일 만큼의 동바리(갱내 지주목)와 판자조각 등을 싣는다.
<사진 6-2> 탑동 작업배치 현장(1956년경)
(3) 광석작업
굴진공은 높이 2m 정도의 수평갱을 뚫고, 광석공은 산줄기를 따라 좁은 굴을 뚫게 된다. 이때 천공소리 때문에 막장은 다소 시끄럽다. 보통 2명이 한 조가 되어 막장에서 일하는데 1개조가 15〜20톤의 철광석을 캐낸다.
(4) 퇴 갱
근로기준법상의 8시간을 마치면 퇴갱 하였다.
(5) 근로자의 임금제도
광부들의 임금은 다수가 월급제이며 도급제 근로자도 있었으나 극소수였다.
-
- 이전글
- Ⅵ. 철광산의 생활문화
- 24.02.22
-
- 다음글
- 2. 광산촌의 생활상
- 24.0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