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철광산의 문화사 [증보판]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철광산의 문화사 [증보판]

    Ⅷ. 철광산의 재개발

    페이지 정보

    조회 336회

    본문


    1. 양양광산의 재개발 현황


     금산개발(주)과 대한광물주식회사 법인설립


    2008년 7월 금산개발(주)이 갱도(坑道) 미개발구역에 철광석이 그대로 남아있을 것으로 예상되자 구(舊) 대한철광개발주식회사 양양사업소 작업권 내 210㏊ 에 대해 강원도에 채광계획을 신청했다. 강원도는 광해방지(鑛害防止) 의무의 충족과 산림조성 지원비 납부를 조건으로 승인하였다.

    금산개발(주)은 이 지역에 최소 500만톤 이상의 철광이 매장돼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보다 정확한 매장량을 파악하기 위해 강원대학교에 조사를 의뢰하였다.

    2007년 6월 한국귀금속분석감정원의 분석 결과 철광석의 함량이 49.08%로 질이 양호한 것으로 밝혀졌다.

    금산개발(주)은 개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하기 위해 2010년 12월 20일 대한 광물주식회사라는 법인을 설립하였다. 한전산업개발, 스포츠서울, 대한광물자원공사 등이 지분을 투자하여 협약서를 체결하고 운영하였다. 2011년 6월 9일 양양 광업소 기공식을 가진 후 채굴환경 조성 등 굴진 준비를 마치고 2012년 5월 11 일 첫 채광으로 광업소를 운영하던 중 철광석 단가가 45% 하락하는 등으로 채산성이 악화되자 2015년 5월 29일 서울중앙지방법원에 법인 회생을 신청하였다.



     맥산그룹의 대한광물주식회사 인수


    서울중앙지방법원에서 여러 차례 회생절차를 진행하였으나 대한광물주식회사를 인수할 회사가 없어 1년여 시간을 끌다가 2016년 5월 30일 양양의 향토 기업인 맥산그룹의 단독입찰로 회생 종결처리 되었다. 이로써 대한광물주식회사는 맥산산업, 양양자원 등이 대주주가 되어 광업권을 인수 합병하였다.

    2020년 2월 10일 선광장을 준공하여 분광을 생산하고 있으며 분광의 부산물로 골재도 생산된다.

    양양광업소는 확인된 매장량만 700만톤으로 원석을 연간 40만톤씩 생산하여 6 만톤의 정광(精鑛 : 철 함량 63% 이상)을 생산하여 중국으로 수출하고 있다. 매장량은 시추 여하에 따라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맥산그룹 인수 후 광산 종사 인력이 사무 전담 인력을 포함해도 30명이 넘지 않아 과거에 비하면 50%에도 미치지 못한다. 작업환경을 안전하고 효율적 으로 바꾸기 위하여 갱도를 넓히고 바닥을 포장하고, 천정과 벽의 굴진 면을 콘크리트로 보강하여 갱도 내로 덤프트럭이 직접 진입하여 철광을 운반하는 시스 템을 도입하였다. 이로 인해 배수와 통풍도 자연적으로 이루어진다.

    발파와 착암도 자동화된 기계 도입으로 인력을 최소화하여도 안전은 보장되고 생산성은 높였다고 한다.

    철의 국제 원자재 가격이 크게 하락하지만 않는다면 철광석의 채굴과 더불어 발생하는 폐석을 모래와 자갈로 활용하는 등으로 채산성을 맞출 수 있어 전망이 매우 밝다고 한다.



    대한광물(주) 양양광업소 현황


    1) 일반현황


    (1) 광산연혁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서면 장승1길 190-1

    ① 1933년 일본 석정광업소 개발

    ② 1961년 선광장 준공

    ③ 1973년 제1수갱 (320m) 준공

    ④ 1974년 제2수갱 (350m) 준공

    ⑤ 1995년 폐광(광산 채산성 저하)


    (2) 사업경과

    ① 2010. 12. 20 대한광물주식회사 법인설립

    ② 주주구성 : 한전산업개발, 스포츠서울, 한국광물자원공사

    ③ 2010. 12. 21 주주간협약서 체결

    ④ 2011. 06. 09 양양광업소 기공식

    ⑤ 2011. 06. 22 Ramp Way굴진 첫 발파

    ⑥ 2012. 05. 11 양양광업소 첫 채광

    ⑦ 2012. 11 주램프 굴진, 광체 채광갱도 조성, 생산 및 판매

    ⑧ 2015. 05. 29 법인회생 신청 (서울중앙지방법원)

    ⑨ 2016. 05. 30 회생종결 (맥산그룹 인수)

    ⑩ 2019. 12. 02 광업권(제75413호 외8) 인수합병

    ⑪ 2020. 02. 10 선광장 준공

    ⑫ 2023. 08월 현재 주램프굴진, 시추탐사, 생산 및 판매 진행 중

     

    124_1.jpg

    <사진 8-1> 대한광물 재개발현장(2012)



    2) 개발계획


    (1) 시장변화 및 환경 친화적

    ① 세계적 광물자원확보 필요성 : 국내자원개발 필요 국내 최대 자철광산으로 친환경 개발 (산성폐수 및 광미처리안전)

    ② 지표조사 및 탐사를 통한 철광석 잔존광량 확인

    ③ 현대화 장비를 이용한 채광기술 발전

    ④ 저 품위 철광석의 선광기술 발전


    (2) 광산개발

    ① 생산계획 : 30만 톤/년 규모(하부광체 개발로 추가광량 확보)

    ② 개발방법

    ▶ 채광 : Ramp Way 굴진으로 기계화 채굴 ⇒ Ramp Way 굴진 : 첫 발파(‘11. 6. 22~) ⇒ 진행사항 : 양양7구신광체 연접 구갱도 첫 채광(‘12.5.11) ⇒ Ramp Way 굴진 : 3.7km 굴진 (‘23. 8. 현재)

    ▶ 배수 : 2수갱 Roof 기준, 수직으로 380m 구간까지 배수완료

    ▶ 선광 : 분광(습식자력선별)

    ▶ 광미 : 고압 탈수로 갱내 공동구역 충전


    (3) 선광설비

    ① 자력선별(고 자력 습식) 철광석 정광생산 및 골재선별

    ② 친환경 수처리시스템 구축(습식 처리 수 재활용, 외부 하천으로 반출 없음)

     

    126_1.jpg

    <사진 8-2> 현 대한광물 선광장(2023년)



    3) 공정 및 생산제품


    (1) 채광현황

    ① 양양광업소 -170ML, -230ML 구갱도 관통 및 확장작업 등 채광준비

    ② 일부 고품위 원광석 채광 진행중


    (2) 생산제품

    ① 철광석 정광 : Fe 함량(63% Max.)

    ② 분광(Fine Ore') : size 2mm 이하

    ③ 골재 : 25mm 자갈, 부순 모래


    (3) 제품판매

    ① 2012. 11. : 1차 선적 분 5천톤 중국 첫 수출

    ② 현재는 약6만 톤/년 정광 생산하여 중국에 수출



    4) 조직도 및 인원현황


    (1) 조직도(2012.11)

    a.jpg


    ○ 소속별 인원

    b.jpg



    (2) 조직도(2023.8)

    c.jpg


    ○ 소속별 인원

    d.jpg

     

     

    129_1.jpg

    <사진 8-3> 양양갱 입구(2012)

     

    129_2.jpg

    〈사진 8-4〉현 양양갱 내부(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