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지에게 드리며 이별을 고함
페이지 정보
본문
▪ 동지에게 드리며 이별을 고함 신사년(1881, 고종18) 11월(與同志告別 辛巳十一月)
성재(省齋) 유중교(柳重敎)
저의 이름이 이미 천거를 받아 품계가 올라가니 사람들이 말하기를, 앞으로 관직을 갖는 것은 바로 순차적인 일이라고 합니다. 돌아보면 지금은 사악한 무리들이 제멋대로 행동하고 대도(大道)가 장차 실추되려는 때, 이 몸이 사우(師友)들과 재앙을 함께 받지 못한 것이 이미 매우 부끄럽습니다.
작위의 명칭을 더할 수 있겠습니까. 이는 결코 저의 고지식한 성품으로 감당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고개를 숙이고 꾹 참으며 구차하게 이 세상에 살기보다는 차라리 궁벽한 산속에 들어가 은둔하여, 조정에서 저를 관리들의 반열에 끼지 않게 하여 서로 잊어버리는 경지에 두게 하는 것이 낫지 않겠는가.
문을 나가서 고삐를 잡으면 아득히 멀리 보이는 것은 오직 금강산과 설악산 두 산인데, 설악이 조금 가까우므로 먼저 그곳으로 향합니다. 먼 후대에서 삼연(三淵, 金昌翕)선생을 따라 함께 노닐기를 바라는데, 산과 물의 신령들이 과연 사람을 거절하지 않을지 모르겠습니다. 선인의 묘소에는 마땅히 마음대로 왕래하며 성묘를 해야 하지만, 몇 명의 식솔은 작은 아들에게 맡겼으니 조만간에 집을 정리하여 따라오게 하는 것이 또한 어렵지 않습니다.
일이 창졸간에 일어나서 여러 동지에게 다 이별을 고할 수 없지만 떠나기에 앞서 미련의 마음이 없을 수 없습니다. 다시 천만 번 바라건대, 각자 마음을 편안히 갖고 진덕수업(進德修業)하며, 정도(正道)를 더욱 굳게 지키고 사악한 무리들을 더욱 엄정하게 물리쳐, 한 줄기 남은 양도(陽道)가 깊은 샘물 아래에서 보존되게 해 주시기를 바라니, 나의 미친 짓을 다 본받을 필요는 없습니다. 저는 많은 바람을 견디지 못하겠습니다.
『省齋集』
「與同志告別」 辛巳十一月
賤名旣被薦陞品. 人言將來擬職. 是次第事. 顧今淫邪肆行. 大道將墜之會. 此漢之不與吾師友共禍. 已是可恥之甚. 况加之以爵名耶. 此决非區區狷介之性所可堪者. 與其俛首隱忍. 苟活此世間. 無寧遁入竆山. 令 朝家不齒衿紳. 置之相忘之域耶. 出門攬轡. 迢遞入望者. 惟霜岳雪岳二山. 而雪岳爲稍近故先向焉. 願從三淵先生. 同遊於百世之下. 不知山靈水神. 果不拒人否也. 先人丘墓. 當隨意往來展省. 私眷數口. 付之小兒子. 早晩拔宅而從之. 亦不難矣. 事出倉卒. 無由盡別諸同志. 臨行不能不眷顧. 更冀千萬各自安心 進德修業. 守正益固. 闢邪益嚴. 使一線陽道得以保存於窮泉之下. 不必盡效我狂態也. 區區不勝厚望.
-
- 이전글
- 지중추 송공 묘지명 병서(知中樞宋公墓誌銘)
- 24.02.06
-
- 다음글
- 관동별곡(關東別曲)
- 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