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3.4 동해신묘의 발굴조사 현황 28)

    페이지 정보

    조회 626회

    본문

    양양 동해신묘의 발굴조사는 1998년 11월 2일부터 12월 3일 까지 약 한 달간 실시하였다.

    발굴의 목적은 동해신묘 유적의 정학한 위치와 규모 등을 파악하여 학술자료로 활용함과 동시에 추후 정비복원 및 사적지 지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기 위함이다.

    발굴결과를 살펴보면, 1993년 이미 정전이 복원된 상태였기 때문에 정전위치는 조사가 이루 어지지 않았다. 1908년 동해신묘가 훼철된 이후, 감시초소가 설치되면서 대부분의 유구가 파괴 되었고, 1993년 정전복원 공사 시 구릉의 경사면을 평탄화하는 과정에서도 유구의 일부가 훼손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발굴조사결과 건물지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다만 몇몇 지점에서 일부 석렬 만 확인되었다. 석렬은 총 4개 지역에서 할석과 냇돌이 출토되었으며, 정전 북동쪽에서약 5~7㎝ 두께의 소토와 일부 돌이 노출되었다.

     

     

    108-2.jpg

     

    <그림 7> 동해신묘 발굴 배치도

     

     

    3.4.1 석렬유구 1

     

    석렬유구 1은 정전 기단석 중앙 기준점에서 남쪽으로 10m 떨어진 곳에서 남동-북서방향으로약 8m정도로 노출되었다. 둥근 냇돌들이 바깥면으로 열을 맞추어 형성되어 있으며,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면서 약간 씩 낮아진다. 석렬유구 주위에 조선시대 기와편들이 다량 노출되었고, 청자편, 백자편, 토기편이 약간 출토되었다. 석렬유구 1에서 남쪽으로 약 2m지점, 현 지표하약 150㎝ 깊이의 암갈색 사질토층에서 작은 냇돌들이 동-서방향으로 길이 10m, 폭 1m크기로 남쪽으로 경사지게 노출되었다.

     

     

    <표 15> 동해신묘 발굴현장 사진(1998년)

    z1.jpg

     

     

    3.4.2 석렬유구 2 

     

    석렬유구 1 서편에 위치한 석렬유구 2는 현 지표하 90㎝ 깊이인 적색 점토층에서 40㎝×35 ㎝×25㎝ 크기의 할석들이 동-서방향으로 남서면으로 열을 맞추어 약 3.5m 정도 노출되었다.

    석렬유구 2의 동쪽으로 밭으로 사용하여 교란이 심하고, 서편으로는 민가에서 심은 나무들이 자라고 있어 확장조사를 일부만 시행하였다. 석렬의 동쪽 끝 할석 남쪽으로 작은 둥근 냇돌과 할석들이 설렬유구 2의 같은 방향으로 약 2.7m 노출되었는데, 돌의 성격은 불분명하다. 이 돌들의 동남쪽으로 3m지점에 작은 할석들이 길이 1.8m, 폭 0.6m 크기의 장타원형으로 노출되었 는데, 적심석으로 추정된다.

    석렬의 동쪽 끝 할석 남쪽으로 1.7m 떨어진 지점에 85㎝×74㎝×40㎝ 크기의 타원형 구덩이와 남쪽으로 인접하여 77㎝×77㎝×60㎝ 크기의 원형 구덩이가 확인되었다.

    석렬유구 2 주위에서 조선시대 기와편, 분청사기편, 백자편, 수막새편 1점이 출토되었다.

     

     

    3.4.2 석렬유구 2 

     

    석렬유구 1 서편에 위치한 석렬유구 2는 현 지표하 90㎝ 깊이인 적색 점토층에서 40㎝×35 ㎝×25㎝ 크기의 할석들이 동-서방향으로 남서면으로 열을 맞추어 약 3.5m 정도 노출되었다.

    석렬유구 2의 동쪽으로 밭으로 사용하여 교란이 심하고, 서편으로는 민가에서 심은 나무들이 자라고 있어 확장조사를 일부만 시행하였다. 석렬의 동쪽 끝 할석 남쪽으로 작은 둥근 냇돌과 할석들이 설렬유구 2의 같은 방향으로 약 2.7m 노출되었는데, 돌의 성격은 불분명하다. 이 돌들의 동남쪽으로 3m지점에 작은 할석들이 길이 1.8m, 폭 0.6m 크기의 장타원형으로 노출되었 는데, 적심석으로 추정된다.

    석렬의 동쪽 끝 할석 남쪽으로 1.7m 떨어진 지점에 85㎝×74㎝×40㎝ 크기의 타원형 구덩이와 남쪽으로 인접하여 77㎝×77㎝×60㎝ 크기의 원형 구덩이가 확인되었다.

    석렬유구 2 주위에서 조선시대 기와편, 분청사기편, 백자편, 수막새편 1점이 출토되었다.

     

     

    3.4.3 석렬유구 3

    석렬유구 3은 담장지로 추정한다. 현재 석축의 서쪽 모서리부분과 민가 화장실 부분에서 현지표하 240㎝ 깊이의 적색 점토층에서 할석이 일부 확인되었다.

    현재 석렬유구 3은 동-서방향으로 60㎝×40㎝×20㎝ 크기의 할석들이 남서면으로 열을 맞추어 약 5m 정도 형성되고 있는데, 민가 화장실 밑에도 돌이 노출되는 것으로 보아 더 연장될 가능성이 있다. 석렬유구 주위에 조선시대 기와편과 백자편 2점, 수막새편 1점이 출토되었다.

     

     

    z2.jpg

     

     

    3.4.4 석렬유구 4

     

    석렬유구 4는 석렬유구 2에서 북쪽으로 5.2m에 위치한다. 현 지표하 약 50㎝ 깊이의 암갈색 모래층에서 노출되었는데, 20㎝×30㎝×15㎝ 크기의 할석은 남서면으로 영을 맞추어 동-서방향 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론 인접해서 생토층이 확인된다. 석렬유구 4에서 분청사기 병편 1점과 저부편 1점이 출토되었다.

     

    --------------------------------

    28) 양양 동해신묘 발굴조사보고서, 강릉대학교 박물관・양양군, 1999의 내용을 정리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