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2009 양양의 6·25 비화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2009 양양의 6·25 비화

    먹판을 아십니까?

    페이지 정보

    조회 4,027회

    본문

     먹판을 아십니까?

    인공 때도 마을마다 서당교육을 받는 아이들이 있었다. 둔전리에도 서당이 있었다. 둔전리는 추씨 집성촌이었다. 마을의 어른 중에서 일가 아이들을 모아놓고 명심보감, 당음 등 여러 가지 서적들을 교육시켰는데, 글씨 연습하는 것이 문제였다. 종이도 부족할 뿐 아니라 먹도 귀했기 때문이다.

    종이 대용으로 사용한 것이 먹판이었다. 먹판은 피나무를 잘라 대패로 깎아 평평하게 한 다음 기름을 먹여 만들었다. 크기는 1자×2자 정도 되었다. 그러면 여기에 글씨를 쓰고 난 후 걸레로 닦으면 깨끗하게 지워졌다. 훌륭한 재생용 종이였던 것이다.

    먹이 귀했기 때문에 먹 대용으로 사용했던 것이 있다. 아궁이의 솥밑에 보면 그을음이 더덕더덕 붙어 있다. 그 그을음을 긁어낸 후 채에 걸러 낸 다음 솥에 넣고 끓인다. 한참 끓이다 보면 걸죽해지는데, 이것을 가지고 개울에 나가 나뭇가지에 찍어 평평한 돌에 글씨를 썼다.

    글씨를 다 쓴 다음에는 개울물을 끼얹으면 깨끗하게 지워졌다. 햇볕에 돌이 마르면 다시 쓰곤 하였는데, 이런 일은 한여름 뙤약볕이 반짝일 때 하였다.

    붓은 황모라고 하여 족제비털이 최고였다. 그러나 어려운 형편에 황모를 구할 수 없었기에 붓 대용으로 즐겨 사용한 것이 칡줄이었다.

    마침 산골마을 언덕마다 칡은 많이 있었다. 칡이 오래 묵으면 칡줄이 새카매지는데, 그 끝을 살살 돌멩이로 찧으면 마치 붓처럼 잔뿌리가 실처럼 나오는 것이다. 그것을 붓 대용으로 사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