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철광산의 문화사 [증보판]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철광산의 문화사 [증보판]

    2. 부서별 업무현황 및 운영실태(3)

    페이지 정보

    조회 274회

    본문


    4) 채광과


    (1) 업무현황

    ① 매장 광량을 채굴하여, 선광장(오아삥=저광사)까지 운광, 조광(粗鑛) 생산하는 부서.

    ② 4개갱(수항, 양양갱, 도목갱, 논화갱)이 있고, 채광작업 및 운광에 소요되는 시설, 장비를 보수, 유지하는 시설계가 있음.

    ③ 증산과 안전유지를 위한 최상의 업무를 수행함.

    ④ 항상 재해위험을 많이 부담하고 있는 부서로서 관리 감독직은 과장, 갱장(계장급), 주임, 감독직으로 조직됨.

    ◉ 시설계

    ① 일명 광차 수리실이라고도 칭함.

    ② 채광과 소관 제반장비를 보수하고 유지함.

    ◉ 양양갱

    ① 양양광업소 개광이래 도목갱과 같이 그 역사를 이루고 있음.

    ② 1일 3교대 채광 작업함. 각 교내에 주임사원이 보직되어 있고, 작업장(막장)수에 따라 감독직 책임자가 있음.

    ③ 수갱이 생기기전 까지는 광업소 생산(조광)의 반 이상을 채굴함.

    ④ 논화갱과 이웃하고 있음.

     

    035_1.jpg

    <사진 4-3> 사갱 입구 1957년경

     

    ◉ 도목갱

    ① 도목갱 광채(일부 탑동광체 포함)를 주로 채굴함.

    ② 1일 3교대 작업함.

    ③ 수갱개발이전에는 양양갱과 같이 중요 생산 장 임.

    ④ 수갱과 이웃하고 있음.

    ◉ 수갱

    ① 매장광체의 부존상태가 지하 깊숙이 부존(賦存)하므로 수직갱(수갱) 개발의 당위성이 이루어짐.

    ② 엘리베이터에 광석을 퍼 싣고 나와서, 선광장에 보내는 것으로 보면 됨.

    ③ 기존의 양양갱, 도목갱의 광채가 채진됨에 따라 광산의 수명단축을 연장시킴.

    ④ 수갱의 갱도 안은 항상 낙수로서 비오는 상황임.

    ◉ 논화갱

    ① 양양갱과 더불어 광산개발 초기부터 채굴 생산한바, 철광석 함유 성분 중에 철품위(% Fe)이외의 불순 성분(유황 %S)과 광석의 질이 너무 치밀한 중광(中鑛)석이 혼재되어 제반 생산된 바 임.

    ② 기계 선광장(약칭 기선장)에 볼밀공장(제2공장)이 보강 증설 되므로 휴화광(유황성분 많은)과 중광을 처리할 수 있게 되어 계속 채광함.

    ③ 생산 작업체제는 소위 덕대업자가 회사와 계약체결 함.



    (2) 업무현황

    ① 기구 및 인원현황 1982년도 채광과에 소속된 종업원 수는 채광과장을 비롯한 사원 급이 32명이고 채광공을 비롯한 고원은 496명으로 양양광업소에서 가장 많은 총 528명의 광부들이 철을 생산하고 있으며 기구표 및 인원현황은 <표 4-18>과 <표 4-19> 과 같다.


    <표 4-18> 기구표


    w8.jpg


    <표 4-19> 인원현황

    w9.jpg


    업무추진계획 및 주요업무


    ◉ 업무추진 계획

    ▶ 안전조업 

    o 보안규정 준수 및 재해 예방책 강구.

    o 보안 시설 점검 및 보수.

    o 작업장 순찰 철저.

    o 충분한 휴식.

    ▶ 능률향상 

    o 장공기 채굴.

    o 기능 인력의 효율적 운용.

    ▶ 채광 실수율 향상 

    o 생산 및 조광품위 향상.

    ▶ 생산 원가 절감 

    o 자재절감(폐자재 활용) 

    o 누기 및 압력 강하 방지(압축공기) 

    o 조준 발파로 화약 사용량 억제


    ◉ 주요업무 

    채광과 주요업무내용은 <표 4-20>와 같다.


    <표 4-20> 주요업무내용


    w10.jpg


    ③ 광체별 광석생산량 및 화약사용량 

    1982년도를 기준하여 년 328일 조광(粗鑛)한 생산량은 779,000M/T이고 광체별 1일 생산량은 <표 4-21>와 같으며 80년부터 81년까지 2년간 조광에 필요한 화약 사용량은 <표 4-22>과 같다.


    <표 4-21> 광체별 생산량(1일)


    w11.jpg


    <표 4-22> 화약사용량(조광M/T당)


    w12.jpg


    ④ 권양시설 및 기계시설 현황 1982년도를 기준 각 항에서 권양기가 1일간 출광(出鑛)하는 량은<표 4-23>과같으며 갱내에서 조업에 사용되는 기계시설 현황은 <표 4-24>과 같다.



    <표 4-23> 권양시설 현황


    a1.jpg


    <표 4-24> 기계시설 현황


    a2.jpg


    ⑤ 갱내 운영실태

    ◉ 광석운반 

    드로우포인트(Draw Point : 떨어뜨리는 곳)로 낙하(落下)된 광석은 1M/T 철제광차에 수적(手積)이나 광산로더로 적재한 후 3M/T 배터리 축전차에 의해 중단(中段)슈트로 적하(積下)된다. 적하된 광석은 주 운반 갱도(규격 2.5m×4m)인

    -300ML에서 2.6M/T 그 랜비 광차에 적재한 후 8M/T 트로리 기관차로 연결 2 수갱 슈트로 운광한다. 2수갱슈트에 적하된 광석은 -320ML에 설치된 36“×24” 125HP 조크라샤로 100㎜의 입도(粒度)로 파쇄 하여 -340ML에 설치되어있는 48˝×12˝×2¾˝ 30HP Apron feeder를 거쳐 3M/T 스깊에 적재되어 갱외 저광사(貯鑛舍)로 출광된다. 수갱설비의 현황은 <표 4-25>과 같다.


    ◉ 통기개요 

    갱내통기의 목적은 갱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여 갱내종업원의 건강을 보호하고 또 지층에서 발생하는 폭발가스와 유독성가스를 희석(稀釋)시켜 위험성을 회피하는데 있다. 통기법(通氣法)은 자연통기법(自然通氣法)을 채택하고 있다.

    입기갱도는 1수갱이 되며, 2수갱으로 배기되고 있다. 통기(通氣 : ventilation)는 양호한 편이나 통기가 불량한 막장에서는 7.5HP 국부(局部)선풍기와 동력선풍기를 사용하여 통기불량개소를 해소하고 있다. 특히 수갱의 갱도 심부광체는 갱도가 복잡하게 개설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채굴공동(採掘空洞)이 있으므로 주작업 장인 양논광체(襄論鑛體)까지 입기를 유도하려고 약 20개소의 풍문을 설치하여 통기회로를 일원화하여 240ML를 양양 ․ 논화 갱도로 기류를 유도하여 입도와 슈트를 통해 -300ML 갱도로 배기시켰다.

     

    a3.jpg


    ◉ 배수개요 

    수갱지구의 배수는 그 수갱 -300ML에 주 섬프장(갱저의 물 웅덩이)을 설치 하여 수갱 출수량 전량과 배수갱 출수량 중 하6갱(下六坑) 하부의 출수량을 집수시켜 그 수갱 -180ML에 있는 중계 섬프(sump)장까지 양수시키고 중계펌프로 갱외로 배수시킨다.



    ⑥ 개발 현황

    ◉ 갱내채광

    본 광산의 주요 개발지구는 양양수갱지구 및 도목, 논화, 지구로 구분 되며 현재 각 갱별 1일 생산량은 수갱지구 1700M/T, 양양지구 300M/T, 도목지구 400M/T이며 논화갱 지역은 0ML(제로미터레벨) 상부는 채진 완료 되었고 심부 양논 광체를 개발하고 있다.

    채광법은 중단채광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소규모 광체는 슈린 케이지 채광법을 병행하고 있다.

    원가절감 방안으로 장공 착암으로 1인 2대의 착암기로 작업을 하고 있으며 운반계통은 0ML(제로미터레벨)을 기준하여 상 ․ 하부운반을 주분 담당하고 있으며 상부 운반은 양양 및 도목갱 광체의 사갱운반이며 하부 운반은 심부 수갱광 체에 대한 운반으로 수갱 권양기 400HP을 사용하고 있으며 운반량의 70%를담당하고 있다.

    갱내 통기는 1수갱을 입기, 2수갱을 배기로 한 자연통기법에 의존하고 있으며 배수는 수갱 배수준 - 180ML에 125HP 양수기 2대로 집수하여 갱내로 배출하고 있다.

    각 지구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043_1.jpg

    <사진 4-4> 갱내 착암작업 중인 모습(1957년경)


    ◉ 양양수갱지구

    본 광산의 중심부를 이루는 광체로서 0ML(제로미터레벨) 상부는 양양광체 하부는 수갱 광체로 구분하여 개발하고 있다.

    상부 수갱광체는 현재 일부가 채진 되었고 기 확보된 잔량을 채광 하고 있으며 1일 300톤을 생산하고 있다.

    하부 수갱 광체는 현재 300L 상부를 주 채광 수준으로 하고 있으며 1일 600 톤 정도가 생산되고 있다.

    본 지구에서는 장공 착암기를 사용 채광하고 로다를 이용한 막장 운반하고 있다. 또한 심도 400M의 제1수갱과 심도 350M의 제2수갱이 약 600M 거리를 두고 개설되어 있으며 제2수갱은 스킾 타입 400HP 제1수갱은 케이지 타입 150HP 으로 2수갱에서 광석을 운반하고 1수갱에서 인원 및 자재를 운반하고 있다.


    ◉ 도목갱지구 

    양양수갱 북서쪽 1KM 지점에 위치하며 배수준 - 50ML 상부의 광체는 도목 사갱에 의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심부 광체는 도목 사갱에 의하여 개발되고 있으며 심부 광체는 수갱 300L에서 개발하고 있다.

    상부는 1일 400톤을 생산하고 있으며 300L에서 장공발파에 의한 기계화 채광으로 1일 400톤을 생산하여 2수갱으로 운반 반출하고 있다.


    ◉ 논화지구

    본 지구 0ML(제로미터레벨) 상부는 채진 완료 되었고 심부의 양논 광체를 개발 생산하고 있으며 300L에서 장공발파에 의한 기계화 채광으로 일 400톤을 생산하여 2수갱으로 운반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