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불사(見佛寺)
페이지 정보
본문
■ 창건 및 연혁
현불사(見佛寺)는 왕금산(王金山) 아래인 양양군 현남면 매호길 281(후포매리 224-2번지)에 위치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3교구 신흥사 말사다. 적멸(寂滅) 스님이 불모지인 이 지역에 1991년도에 도착하여 왕금산을 보고 부처님의 상주함을 확신한 후 사찰 창건을 계획하게 되었다. 취정선원을 1993년에 건립하고 1999년에 큰 법당인『비로전(毘盧殿)』을 건립함으로써 사찰의 면모를 갖추게 되었다.
이후 2002년 5월 31일 백옥(白玉) 비로자나(毘盧遮那) 부처님을 큰 법당에 봉안하였고, 2013년 4월 8일에는 깨완수 토굴(신도 숙소)이 신축되었다. 2017년 4월 22일에는 3층 석탑인 성공탑(成功塔)을 건립하였다.
현불사(見佛寺)는 열심히 기도하는 사람에게는 부처님이 나타나셔서 영험을 내리는 기적이 빈번하도록 뵈올 현(見) 부처불(佛)을 따서 현불사(見佛寺)로 이름을 지었다 한다.
■ 취정선원(翠庭禪院)
취정선원((翠庭禪院)은 강릉에 거주하던 취정(翠庭) 염재근선생의 시주로 1993년 개원하였다.
인법당(因法堂)인 취정선원(翠庭禪院)은 전면 6간 측면 3간 폭 3간의“ㄱ”자형의 팔작지붕이다.
석가모니불을 주불로 관세음보살과 지장보살을 모셨으며, 석가모니불과 지장보살 사이에는 애기 부처님이 하늘을 가리키며‘천상천하 유아독존’을 외치며 서 있다.
또한 백옥으로 조성한 작은 비로자나불과 인등(引燈)이 있다.
취정선원 측면에는 작은 동종(銅鐘)이 나란히 2개가 있는데 그중 하나는 현불사의 주소와 사명(寺名)이 한자와 한글로 양각되어있으며 조성 연대는 불기 2535(1991)년 4월 8일로 취정선원 착공 당시에 주조(鑄造)되었다. 또 다른 종은 불기 2553년(2005) 5월 15일 조성한 것으로 되어있다.
취정선원 앞에는 2017년도에 조성한 3층 석탑이 있는데 지대석 위에는 작은 백옥 비로자나불이 면마다 13분씩 놓여 있다.
현불사 앞 900m 지점에는 불사에 많은 도움을 주신 취정 염재근선생 공덕비가 불기 2559년(2015) 9월 27일에 세워져 있다.
취정선원(翠庭禪院)과 큰 법당
■ 금당과 백옥 비로자나불
금당인 비로전은 1999년에 창건되었다. 세계인의 화합을 발원하며 2002월드컵 개막에 맞추어 백옥(白玉)으로 탁마(琢磨)한 비로자나불(毗盧遮那佛) 점안식(點眼式)을 하였다.
현 주지이신 적멸(寂滅) 스님은 1991년부터 이 절에 주석하였는데 비로자나불을 모시기 위하여 직접 중국까지 찾아가 하남성(河南城) 소림사 근처에서 백옥(白玉) 원석(原石)을 구했다고 한다. 원석을 수송해 와서 익산에 거주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불모(佛母) 장인(匠人)을 섭외하여 불상을 조성하게 하였다. 좌상(坐像)의 높이는 3.3m이며 좌대(座臺)를 포함하면 4.5m이다.
금당은 단청과 현판이 아직 없으며 전면 3칸 측면 3칸으로 건축양식은 다포계(多包系) 팔작지붕의 정사각형 건물로 층고(層高)가 높아서 웅장하게 보인다. 앞으로 현판은 비로전(毗盧殿)으로 할 계획이며 단청 없이 목재를 보호하는 방법을 강구하고 있다.
건물은 정방형의 남향(南向)으로 법당문의 크기는 가운데 15자, 좌우 측면 12자로 하고 가운데 칸은 기둥 사이를 넓게 잡아 네 짝 분합문(分閤門)을 달고 좌우 협칸(狹間)은 좁혀 두 짝 분합문을 달았다. 비로자나불 정면인 남쪽의 모든 문은 격자 문살로 햇빛이 잘 들도록 했다. 동쪽의 가운데 문살과 좌우 측면, 서쪽은 모두 빗살문이다. 하루 동안 해의 이동 방향을 고려하여 문살을 배치하였다 한다.
금당 앞 양쪽에는 공작단풍(孔雀丹楓)이 두 그루 서 있으며 양쪽 계단 사이에는 허리쯤 되는 소나무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절 마당에도 소나무 군락이 눈에 띈다.
큰 법당 백옥비로나자불
■ 깨완수 토굴
사찰 맞은편 방향인 포매천 건너에 황토집이 있는데 이른바『깨완수 토굴』이라고 한다. 전면 7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으로 사찰의 방문자와 행사에 참여하시는 분들의 숙박을 위해 2013년에 지어졌다. 깨완수는“깨달음, 인격의 완성, 수행”에서 한자씩을 따서 지었다고 한다.
-
- 이전글
- 보현정사(普賢精寺)
- 24.02.14
-
- 다음글
- 휴휴암(休休庵)
- 24.0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