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설악산 시문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설악산 시문

    동유기(東遊記)

    페이지 정보

    조회 289회

    본문

     

    ▪ 동유기(東遊記) 

     

    가정(稼亭)  이곡(李穀)



    지정(至正) 9년 기축년(1349, 충정왕 1) 가을에 장차 금강산(金剛山)을 유람하려고 14일에 송도(松都)를 출발하였다.

     21일에 천마령(天磨嶺)을 넘어 산 아래 장양현(長陽縣)에서 묵었다. 이곳은 산과 30여 리 떨어진 지점이다. 이튿날 아침 일찍 조반을 서둘러 먹고 산에 오르려 하니, 구름과 안개가 자욱하여 사방이 어두웠다. 고을 사람이 말하기를 “풍악(楓岳)에 구경 왔다가 구름과 안개 때문에 보지 못하고 그냥 돌아가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라고 하였다. 동행한 사람들 모두가 걱정하는 기색을 띠면서 말없이 기도를 드렸다. 산에서 5리쯤 떨어진 지점에 이르자 음산한 구름이 차츰 엷어지면서 햇빛이 그 사이로 새어 나왔다. 절재〔拜岾〕에 오르니 하늘이 활짝 개고 날씨가 청명해졌다. 그래서 안 보이던 눈꺼풀을 떼어 내고 바라보듯 산이 선명하게 보여서 이른바 일만이천봉을 하나하나 셀 수가 있었다. 누구든지 이 산에 들어가려면 반드시 이 재를 통과해야 하는데, 이 재에 올라서면 산이 보이고 산이 보이면 자기도 모르게 고개가 숙여지기 때문에 절재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이 재에 예전에는 집이 없었고 돈대(墩臺) 모양으로 돌을 쌓아서 쉴 곳을 마련했었다. 그러다가 지정 정해년(1347, 충목왕 3)에 지금 자정원사(資正院使)인 강공 금강(姜公金剛)이 천자의 명을 받들고 와서 큰 종을 주조한 다음에 이 재 위에다 종각(鐘閣)을 세워서 종을 매달아 놓고는 그 옆에 승려가 거처할 곳을 마련하여 종 치는 일을 맡게 하였는데, 우뚝 솟은 종각의 단청 빛이 눈 덮인 산에 반사되는 그 경치 또한 산문(山門)의 일대 장관이라고 할 만하였다.

     아직 정오가 못 된 시각에 표훈사(表訓寺)에 도착해서 잠시 휴식을 취한 다음에, 사미(沙彌) 한 사람의 인도로 산에 올랐다. 

    사미가 말하기를 

    “동쪽에 보덕관음굴(普德觀音窟)이 있는데, 사람들이 사찰을 순례할 때에는 으레 여기서부터 시작합니다. 하지만 이곳은 골짜기가 깊고 길이 험합니다. 서북쪽에 정양암(正陽庵)이 있는데, 이곳은 우리 태조가 창건한 암자로 법기보살(法起菩薩)의 존상(尊相)을 봉안한 곳입니다. 비록 경사가 급하고 높기는 하지만 거리가 비교적 가까워서 충분히 올라갈 수가 있고, 또 이 암자에 오르면 풍악의 여러 봉우리를 한눈에 다 볼 수가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내가 말하기를 “관음보살(觀音菩薩)이야 어디에 간들 있지 않겠느냐. 내가 여기에 온 목적은 대개 이 산의 형승을 보려고 해서이다. 그러니 그 암자에 먼저 가야 하지 않겠느냐.”라고 하였다. 

     이렇게 해서 비탈길을 타고 어렵사리 올라갔더니 과연 그의 말과 같았으므로 마음에 매우 흡족하였다. 보덕관음굴에도 가 보고 싶었지만 해가 벌써 지려 하였고 또 산속에 머물러 있을 수도 없는 일이기에, 결국 신림(新林)과 삼불(三佛) 등 여러 암자를 거쳐 시내를 따라 내려와서 어스름 저녁에 장안사(長安寺)에 도착해 자고 이튿날 아침 일찍 산을 나왔다.

     철원(鐵原)에서는 금강산까지의 거리가 300리이다. 그렇다면 서울에서는 실제로 500여 리 떨어진 셈이다. 하지만 그쪽 방향도 강과 산이 중첩한 가운데 길이 유심(幽深)하고 험절(險絶)하기 때문에 금강산을 출입하기 어려운 것은 역시 마찬가지이다. 일찍이 듣건대, 이 산은 이름이 불경에 나와 있어서 천하에 소문이 났기 때문에 건축(乾竺)과 같이 멀리 떨어져 있는 나라의 사람들까지도 이따금 와서 보는 자가 있다고 하였다. 대체로 눈으로 직접 보면 귀로 들은 것보다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우리 동방의 사람들 중에 서촉(西蜀)의 아미산(峨眉山)이나 남월(南越)의 보타산(補陁山)을 유람한 자가 있었지만, 모두 소문보다 못하더라고 하였다. 

     내가 아미산이나 보타산은 가 보지 못하였지만, 내가 본 이 금강산은 실로 소문을 능가하였으니, 제아무리 화가가 잘 그려 보려 하고 시인이 잘 표현해 보려 하더라도 이 금강산을 비슷하게라도 형용할 수가 없을 것이다.


      23일에 장안사에서 천마(天磨)의 서쪽 재를 넘어 또 통구(通溝)까지 와서 묵었다. 무릇 산에 들어가는 자는 천마의 두 재를 거치게 마련인데, 재에 오를 때에는 산이 바라보이는 까닭에 재를 넘어서 산에 들어가는 자들이 처음에는 험준하다는 걱정을 하지 않다가, 산에서 일단 재를 넘고 난 뒤에야 길이 험난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서쪽 재는 조금 낮은 편이지만 올라가고 내려오는 30여 리의 길이 무척 험하기 때문에 단발령(斷髮嶺)이라고 부른다.


    24일에 회양부(淮陽府)에 와서 하루를 머물렀다. 


     26일에 철령관(鐵嶺關)을 넘어 복령현(福靈縣)에서 유숙했다. 철령은 본국의 동쪽 요해지로서, 이른바 “한 사나이가 관문을 지키면 만 명이 공격해도 문을 열 수 없다.”고 하는 곳이다. 그래서 철령 동쪽에 있는 강릉(江陵) 등 여러 고을을 관동(關東)이라고 칭한다.

     지원(至元) 경인년(1290, 충렬왕 16)에 반란을 일으킨 원(元)나라 대왕(大王) 내안(乃顔)의 무리인 합단(哈丹) 등의 적도(賊徒)가 패배하여 동쪽으로 도망쳤다. 그리하여 원나라 개원로(開元路) 등의 제군(諸郡)으로부터 본국의 관동 지방으로 난입하였으므로, 국가에서 만호(萬戶) 나유(羅裕) 등을 파견하여 군대를 거느리고 철령관을 방호하게 하였다. 적도가 화주(和州 영흥(永興))와 등주(登州 안변(安邊)) 이서(以西)의 여러 고을의 인민들을 겁탈하고 노략질하였다. 그리고는 등주에 이르러 등주 사람으로 하여금 염탐하게 하였는데, 나공(羅公)이 적도가 왔다는 말을 듣고는 철령관을 포기하고 도주하였으므로, 적도가 마치 무인지경을 치달리듯 하였다. 이에 온 나라가 불안에 떨고 인민들이 피해를 입는 가운데 산성에 올라가고 해도로 들어가서 적도의 예봉을 피하다가, 끝내는 중국 조정에 구원병을 요청한 뒤에야 겨우 섬멸할 수가 있었다. 지금 내가 본 바로는, 철령관의 험난함이야말로 한 사나이에게 지키게 하면 천 명, 만 명이 쳐다보고 공격하더라도 쉽사리 들어올 수 없는 곳인데, 나공은 참으로 담력이 적었다고 하겠다.


    27일에 등주에 도착해서 이틀 동안 머물렀는데, 지금은 그곳을 화주라고 칭한다. 30일에 일찍 화주를 출발하여 학포(鶴浦) 어귀에서 배를 타고 바다로 들어가 국도(國島)를 관광하였는데, 그 섬은 해안에서 10리쯤 떨어져 있다. 서남쪽 모퉁이로부터 들어갔더니 물가에 누인 비단처럼 흰모래가 깔려 있었고, 그 위로 평지 5, 6묘(畝) 정도가 마치 반벽(半壁) 모양의 형태로 펼쳐져 있었다. 그 가운데에 집터가 보였는데,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승려가 거주하던 곳이라고 한다. 그 위에는 한쪽이 트인 고리처럼 산이 에워싸고 있었는데, 산세가 그다지 높지 않은 가운데 덩굴 풀만 덮여 있고 또 수목도 없었으니, 얼핏 보기에 흙을 쌓아 놓은 하나의 제방 같은 인상이 들었다.

     배를 타고 약간 서쪽으로 가니 단애(斷崖)와 물가의 언덕이 특이하게 변해 갔다. 단애의 바위들은 모두 직방형(直方形)으로 즐비하게 벽처럼 서 있었으며, 언덕의 바위들은 모두 평원형(平圓形)으로 배열되어 한쪽 면에 한 사람이 앉을 만하였으나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지는 않았다. 수백 보쯤 더 나아가니 수백 척은 될 만한 높이의 단애들이 나타났는데, 그 바위는 모두 백색에 직방형으로 장단(長短)이 한결같았다. 그리고 하나의 단애마다 그 꼭대기에 각자 하나의 작은 바위를 이고 있어서 화표주(華表柱)의 머리 같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얼굴을 위로 들고서 쳐다보노라니 아슬아슬해서 가슴이 떨리고 겁이 났다.

     자그마한 동굴 하나가 있기에 배를 저어 들어갔으나 점점 좁아져서 더 이상 나아갈 수가 없었는데, 그 동굴 안을 들여다보니 얼마나 깊은지 측량할 수가 없었다. 그 좌우에 묶어서 세운 것 같은 바윗돌들은 외면(外面)의 것과 같았으나 그보다는 더 가지런히 정돈되어 있었으며, 그 위에 있는 바위가 지면까지 내려오는 형태도 모두 외면의 것들처럼 평정(平正)한 것이 한 판의 바둑을 복기(復碁)하여 그대로 옮겨 놓은 것과 같아서 마치 일률적으로 잘라 낸 것이 아닌가 하는 인상을 받았다. 이렇게 본다면 외면만 그러할 뿐이 아니라 하나의 섬 전체가 그야말로 한 묶음의 네모진 바윗돌 덩어리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그 동굴 속이 하도 험하고 깊어서 사람의 혼이 떨리게 하였으므로 오래 머물러 있을 수가 없었다.

     그래서 배를 돌려 북쪽으로 가니 이번에는 한 면이 둘러친 병풍과 같은 곳이 있기에, 배를 놔두고 내려가서 배회하며 더위잡고 기어오르기도 하였다. 대개 그 바위는 동굴과 다름이 없었지만 단애가 그다지 높지 않았고 그 아래는 조금 평이하였으며 둥근 바위가 배열된 곳에는 1000명도 앉을 만하였으므로, 유람을 온 사람들은 으레 이곳에서 휴식을 취한다고 하였다. 어떤 사람은 거기에 머물러 술을 마시기도 하였으나 풍랑이 일까 걱정도 되었고 게다가 그곳은 익힌 음식을 먹는 속세의 사람이 머물러 있을 곳이 못 되었다.

     그 석벽을 따라 동남쪽으로 다시 수백 보를 가니, 석벽의 바윗돌이 조금 특이하여 네모진 철망의 형태를 하고는 바닷물을 그 속에 담아서 조그맣고 둥근 자갈을 갈아 내고 있었는데, 길이는 5, 6십 척쯤 되었다. 서 있는 석벽을 하나하나 확인해 보니 한 면은 모두 그와 같았는데, 사람들이 이를 일컬어 철망석(鐵網石)이라고 하였다. 이상이 국도(國島)의 대략적인 경치이다. 그러나 그 기절(奇絶)하고 괴이한 형상으로 말하면 필설로는 방불하게 표현할 수가 없으니, 조화라는 것이 어떻게 해서 이런 극치에까지 이르게 되었는지 참으로 알 수 없는 일이다.

     포구로 돌아온 뒤에 술잔을 들며 서로 치하하였으니, 하나는 승경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요, 다른 하나는 풍랑이 일지 않았기 때문이다. 포구에서 배를 저어 이른바 학포(鶴浦)라는 곳으로 들어가서 원수대(元帥臺)에 올랐는데, 100경(頃)의 맑은 호수에 한 점 고둥처럼 떠 있는 외로운 섬이 또한 하나의 기관(奇觀)이었다. 날이 이미 저물어서 더 머물 수 없기에 현관(縣館)에 들어와서 묵었다.

     

     9월 초하룻날에 흡곡현(歙谷縣)의 동쪽 재를 넘어 천도(穿島)에 들어가려고 하면서 그 형상을 물어보았더니 “그 섬에 굴이 있는데 남북으로 뚫려서 풍도(風濤)만 서로 드나들 뿐이다. 그렇지만 그 천도에서 바다를 가로질러 남쪽으로 가면 총석정(叢石亭)에 갈 수 있는데, 그 거리는 8, 9리쯤 된다. 그리고 총석정에서 바다를 또 가로질러 남쪽으로 가면 금란굴(金蘭窟)에 갈 수 있는데, 그 거리 역시 10여 리쯤 된다. 배 안에서 보이는 승경은 말로 표현할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이날 바람 기운이 약간 있어서 배를 탈 수가 없기에 천도는 들어가지 못하고 해변을 따라 총석정에 갔더니 통주(通州)의 수재(守宰)인 심군(沈君)이 총석정 위에 와서 기다리고 있었다. 이른바 사선봉(四仙峯)이라는 것을 보니, 바위를 묶어서 세운 듯한 것과 그 몸통이 직방형인 것은 대개 국도의 경우와 같았으나, 다만 색깔이 검고 단애의 바위 또한 들쭉날쭉해서 가지런하지 않은 차이가 있을 따름이었다. 그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보건대, 네 개의 봉우리가 저마다 따로 우뚝 솟아서 깎아지른 듯한 단애의 위용을 자랑하는 가운데, 동쪽으로는 만 리의 푸른 바다를 굽어보고 서쪽으로는 천 겹의 준령을 마주하고 있었으니, 실로 관동의 장관이었다.

     예전에는 비석이 단애 위에 있었다는데 지금은 보이지 않고 받침돌만 남아 있을 뿐이다. 또 동쪽 봉우리에 오래된 비갈(碑碣)이 있는데, 비면(碑面)이 떨어져 나가고 닳아 없어져서 한 글자도 알아볼 수가 없으니, 어느 시대에 세워진 것인지 확인할 수가 없다.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신라(新羅) 시대에 영랑(永郞)ㆍ술랑(述郞)ㆍ도(徒)ㆍ남(南) 등 네 명의 선동(仙童)이 그 무리 3000인과 함께 해상에서 노닐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이 비갈은 그들 무리가 세운 것일지도 모르겠는데, 이 또한 상고해 볼 길이 없다. 사선봉에 임하니 자그마한 정자가 있기에 그 위에서 술자리를 베풀었다.

     날이 저문 뒤에 통주(通州)에 와서 유숙하였다. 통주는 옛날의 금란현(金蘭縣)이다. 그래서 성 북쪽 모퉁이에 있는 석굴을 사람들이 금란굴(金蘭窟)이라고 말하는데, 그곳은 관음보살이 머무는 곳이라고 한다. 이튿날 배를 타고 해안을 따라 들어가 멀리서 바라보니 희미하게 보살의 형상이 굴속에 서 있는 것도 같았으나, 그 굴이 워낙 깊고 비좁아서 들어갈 수가 없었다. 

    배를 조종하는 자가 말하기를 

    “내가 여기에서 거주한 지 오래됩니다. 그런데 원조(元朝)의 사화(使華 사신)와 본국의 경사(卿士)는 물론이요, 부절(符節)을 나눠 받고 한 방면을 다스리는 자로부터 아래로 유람하며 구경하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귀천을 막론하고 모두 여기에 와서는 이 굴을 반드시 보려고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매번 나에게 배를 이곳으로 인도하게 하였으므로 나로서는 정말 질리게 와 본 셈입니다. 내가 일찍이 통나무를 파서 만든 작은 배를 조종하여 혼자 굴속에 들어가서는 끝까지 철저하게 살펴본 적이 있는데, 특별히 보살처럼 보이는 것은 발견하지 못하였고, 손으로 만져 보아도 한쪽 면에 이끼가 낀 바위밖에는 없었습니다. 그런데 일단 굴을 나와서 뒤돌아보니 또 관음보살의 형상을 방불케 하는 것이 서 있지 않겠습니까. 아, 나의 정성이 미흡해서 굴속에서 보지 못한 것입니까, 아니면 내가 항상 그런 생각을 하였기 때문에 생각한 대로 이루어진다고 말하는 것처럼 그런 현상이 보인 것입니까?”라고 하였다. 


    내가 그 말을 듣고 보니 자못 수긍되는 점이 있었다.

    금란굴 동쪽에 석지(石池)가 있었는데, 사람들은 관음이 목욕하는 곳이라고 하였다. 또 암석이 밀집해 있는데, 아주 작은 크기의 것들이 무려 수 묘(畝)에 걸쳐 깔려 있기도 하였다. 그런데 모두 한쪽으로 비스듬히 기울어져 있는 이 암석들을 사람들이 통족암(痛足岩)이라고 부르는데, 이는 대개 관음보살이 발로 밟다가 통증을 느끼자 바위가 보살을 위해서 옆으로 몸을 기울였기 때문이라고 한다. 금란굴을 출발하여 임도현(林道縣)에 와서 묵었다.


    초사흗날에 고성군(高城郡)에 도착하였다. 통주에서 고성에 이르는 150여 리의 길은 실로 풍악의 등줄기에 해당하는 곳으로서 산세가 깎아지른 듯 험준하기 그지없었다. 사람들이 이곳을 외산(外山 외금강(外金剛))이라고 칭하는데, 이는 대개 내산(內山 내금강(內金剛))과 기괴한 경치를 다투고 있기 때문이다. 그 동남쪽에 유점사(楡岾寺)가 있는데, 그 절에는 대종(大鍾)과 53불(佛)의 동상이 안치되어 있다.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신라 시대에 53불이 이 종을 타고 서쪽 천축(天竺)으로부터 바다를 건너와서 고성의 해안에 정박하였다가 얼마 뒤에 다시 유점사까지 와서 멈추었다고 한다. 

     고성 남쪽에 있는 게방촌(憩房村)은 바로 금강산의 기슭에 해당하는데, 이 게방촌에서 60리쯤 곧장 위로 올라가면 유점사에 이른다. 내가 처음에는 함께 유람 온 사람들과 함께 반드시 유점사까지 가서 그 종과 불상이라고 하는 것을 보겠다고 약속하였다. 그런데 거리가 먼 데다가 길이 또 험해서 말이 모두 등창이 나고 발굽을 다친 탓으로 뒤처진 자가 있었으므로 더 이상 산에 오를 수가 없었다.


    초나흗날에 아침 일찍 일어나 삼일포(三日浦)에 갔다. 삼일포는 성에서 북쪽으로 5리쯤 떨어진 지점에 있었다. 배를 타고 서남쪽에 있는 조그마한 섬에 갔는데, 그 섬은 무지개 모양의 거대한 하나의 암석이었다. 그 꼭대기에 석감(石龕)이 있고 그 안에 석불이 있었으니, 이곳이 바로 세상에서 말하는 미륵당(彌勒堂)이었다.

     그 단애(斷崖)의 동북쪽 벽면에 여섯 글자로 된 붉은 글씨가 보이기에 그곳에 가까이 가서 들여다보았더니, 한 줄에 세 글자씩 두 줄로 “술랑도남석행(述郞徒南石行)”이라는 문자가 새겨져 있었다. 그런데 ‘술랑남석’ 네 글자는 매우 분명하였지만, 그 다음의 두 글자는 희미해서 알아볼 수가 없었다. 옛날에 그 고을 사람이 유람 온 자들을 접대하기가 괴로워서 이 글씨를 깎아 내려고 하였지만, 5촌가량이나 깊이 새겨져 있었던 까닭에 자획을 없애지 못했다고 하는데, 지금 이 두 글자가 분명하지 못한 것은 어쩌면 이 때문인지도 모르겠다.

     얼마 뒤에 배를 돌려 사선정(四仙亭)에 올라갔는데, 이곳 역시 호수 가운데의 하나의 섬이었다. 이리저리 배회하며 돌아보았더니, 이른바 36봉(峯)의 그림자가 호심(湖心)에 거꾸로 박혀 있었다. 100경(頃)쯤 되는 넓이에 맑고 깊은 물이 가득 넘쳐흐르는 이 호수의 경치 또한 실로 관동의 승경으로서 국도(國島)에 버금간다고 할 만하였다. 이때 군수가 없어서 그 고을 아전이 자그마한 술자리를 마련했는데, 혼자 마실 수는 없기에 배를 준비하게 하고는 밖으로 나왔다.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이 호수는 사선(四仙)이 노닐었던 곳이라고 한다.

     이 36봉에는 봉우리마다 비석이 있었는데, 호종단(胡宗旦)이 모두 가져다가 물속에 가라앉혔다고 한다. 지금도 그 비석의 받침돌은 아직 남아 있다. 호종단이란 자는 이승(李昇)의 당(唐)나라 출신으로 본국에 와서 벼슬하였는데, 오도(五道)에 나가 순시할 적에 이르는 곳마다 비갈을 가져다가 비문을 긁어 버리는가 하면 깨뜨리기도 하고 물속에 가라앉히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심지어는 종경(鍾磬)까지도 유명한 것들은 모두 쇠를 녹여 용접해서 소리가 나지 않게 틀어막았다고 한다. 

     이는 한송정(寒松亭)과 총석정(叢石亭)과 삼일포(三日浦)의 비석, 그리고 계림부(鷄林府) 봉덕사(奉德寺)의 종 같은 경우를 통해서 확인할 수가 있다. 사선정은 박군 숙진(朴君淑眞)이 이 지역을 존무(存撫)할 때 세운 것인데, 좌주(座主)인 익재(益齋) 선생이 기문을 써 주셨다. 삼일포에서 성 남쪽의 강물을 건넌 뒤에 안창현정(安昌縣亭)을 지나 명파역(明波驛)에서 유숙하였다.

     

     초닷샛날에 고성(高城)에서 묵어 거기에서 하루를 머물렀다. 초이렛날에 주인이 선유담(仙遊潭) 위에서 작은 술자리를 베풀었다. 청간역(淸澗驛)을 지나 만경대(萬景臺)에 올라가서 약간 술을 마시고 인각촌(仁覺村)의 민가에 묵었다. 초여드렛날에 영랑호(永郞湖)에 배를 띄웠다. 날이 기울어서 끝까지 돌아보지 못하고, 낙산사(洛山寺)에 가서 백의대사(白衣大士 관세음보살)를 참알(參謁)하였다.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관음보살이 이곳에 머문다고 하는데, 산 아래 석벽에 있는 동굴이 바로 관음보살이 들어가서 머무는 곳이란다. 저녁 늦게 양주(襄州)에 도착해서 묵었다. 그 다음날은 중구일(重九日)인데, 또 비가 와서 누대 위에서 국화 술을 들었다. 


    10일에 동산현(洞山縣)에서 유숙하였는데, 그곳에 관란정(觀瀾亭)이 있었다. 


    11일에 연곡현(連谷縣)에서 묵었다.


    12일에 강릉 존무사(江陵存撫使)인 성산(星山) 이군(李君)이 경포(鏡浦)에서 기다리고 있었다. 배를 나란히 하고 강 복판에서 가무를 즐기다가 해가 서쪽으로 넘어가기 전에 경포대(鏡浦臺)에 올랐다. 경포대에 예전에는 건물이 없었는데, 근래에 풍류를 좋아하는 자가 그 위에 정자를 지었다고 한다. 또 옛날 신선의 유적이라는 석조(石竈 돌 아궁이)가 있었는데, 아마도 차를 달일 때 썼던 도구일 것이다. 경포의 경치는 삼일포와 비교해서 우열을 가릴 수가 없었지만, 분명하게 멀리까지 보이는 점에서는 삼일포보다 나았다.

     비 때문에 하루를 머물다가 강성(江城)으로 나가 문수당(文殊堂)을 관람하였는데, 사람들의 말에 의하면 문수보살(文殊菩薩)과 보현보살(普賢菩薩)의 두 석상이 여기 땅속에서 위로 솟아나왔다고 한다. 그 동쪽에 사선(四仙)의 비석이 있었으나 호종단에 의해 물속에 가라앉았고 오직 귀부(龜趺)만 남아 있었다. 한송정(寒松亭)에서 전별주를 마셨다. 이 정자 역시 사선이 노닐었던 곳인데, 유람객이 많이 찾아오는 것을 고을 사람들이 싫어하여 건물을 철거하였으며, 소나무도 들불에 연소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오직 석조(石竈)와 석지(石池)와 두 개의 석정(石井)이 그 옆에 남아 있는데, 이것 역시 사선이 차를 달일 때 썼던 것들이라고 전해진다. 정자에서 남쪽으로 가니 안인역(安仁驛)이 있었다. 해가 이미 서쪽으로 넘어가서 재를 넘을 수가 없기에 마침내 그곳에 머물러 숙박하였다.


     다음날 아침 일찍 출발하여 역을 지나서 동쪽 산봉우리를 오르는데 길이 매우 험하였다. 등명사(燈明寺)에 도착해서 누대 위에서 일출을 구경하고, 마침내 바다를 따라 동쪽으로 향하여 강촌에서 휴식을 취한 다음 재를 넘어 우계현(羽溪縣)에서 묵었다.


     12일에 삼척현(三陟縣)에서 유숙하였다. 이튿날 서루(西樓)에 올라 이른바 오십천(五十川)의 팔영(八詠)이라는 것을 마음껏 살펴보고 나와서 교가역(交柯驛)에 이르렀다. 이 역은 현의 치소(治所)에서 30리 떨어진 지점에 있다. 그곳에서 15리를 가면 바다를 굽어보는 단애 위에 원수대(元帥臺)가 있는데, 또한 절경이었다. 그 위에서 조금 술을 마시고는 마침내 역사에 묵었다. 


    18일에 옥원역(沃原驛)에서 묵었다. 


    19일에 울진(蔚珍)에 도착하여 하루를 머물렀다.


    21일에 아침 일찍 울진을 출발하였다. 현에서 남쪽으로 10리쯤 가니 성류사(聖留寺)가 나왔는데, 그 절은 석벽의 단애 아래 장천(長川) 가에 위치하였다. 단애의 석벽이 1000척의 높이로 서 있고 그 석벽에 작은 동굴이 뚫려 있었는데, 그 동굴을 성류굴(聖留窟)이라고 불렀다. 그 동굴은 깊이도 측량할 수 없었지만 으슥하고 어두워서 촛불 없이는 들어갈 수가 없었다. 그래서 절의 승려로 하여금 횃불을 들고서 길을 인도하게 하고는, 또 출입에 익숙한 고을 사람으로 하여금 앞뒤에서 돕게 하였다.


    동굴의 입구가 워낙 좁아서 무릎으로 4, 5보(步)쯤 기어서 들어가니 조금 넓어지기에 일어나서 걸어갔다. 다시 몇 보를 걷자 이번에는 3장(丈)쯤 되는 단애가 나타났으므로 사다리를 타고 내려갔더니 점점 평탄해지는 가운데 공간이 높다랗고 널찍해졌다. 여기서 수십 보를 걸어가자 몇 묘(畝)쯤 되는 평지가 나타났으며, 좌우에 있는 돌의 모양이 매우 특이하였다.

    다시 10여 보를 걸어가자 동굴이 또 나왔다. 그런데 들어왔던 동굴의 입구보다 훨씬 비좁아서 아예 배를 땅에 대고 납작 엎드려서 기어갔는데, 그 아래가 진흙탕이었으므로 돗자리를 깔아서 젖는 것을 방지하였다. 7, 8보쯤 앞으로 나아가자 조금 앞이 트이고 널찍해진 가운데, 좌우에 있는 돌의 형태가 더욱 괴이해서 어떤 것은 당번(幢幡) 같기도 하고 어떤 것은 부도(浮圖) 같기도 하였다. 

     또 10여 보를 가니 이루 다 기록할 수 없을 정도로 돌이 더욱 기괴해지고 모양이 더욱 다양해졌는데, 당번과 부도처럼 생긴 것들만 하더라도 이전보다 더욱 길고 넓고 높고 컸다. 여기에서 다시 앞으로 4, 5보를 가니 불상과 같은 것도 있고 고승과 같은 것도 있었다. 또 못이 있었는데 그 물이 매우 맑고 넓이도 수 묘쯤 되었다. 그 못 속에 두 개의 바위가 있었는데, 하나는 수레바퀴와 비슷하고 하나는 물병과 비슷하였으며, 그 위와 옆에 드리운 번개(幡蓋)도 모두 오색이 찬란하였다. 처음에는 석종유(石鐘乳)가 응결된 것이라서 그다지 딱딱하게 굳지 않았으리라고 생각하고는 지팡이로 두들겨 보았더니 각각 소리가 나면서 길고 짧은 크기에 따라 청탁(淸濁)의 음향을 발하는 것이 마치 편경(編磬)을 치는 것과도 같았다.

     이 못을 따라 들어가면 더욱 기괴한 경치가 펼쳐진다고 어떤 사람이 말했지만, 내 생각에는 속세의 인간이 함부로 장난삼아 구경할 성격의 것이 아니라고 여겨지기에 서둘러서 빠져나왔다. 그리고 그 양 옆으로 동굴이 많이 뚫려 있었는데, 사람이 한번 잘못 들어가면 나올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그래서 동굴의 깊이가 얼마나 되느냐고 그 사람에게 물어보았더니, 그

     사람이 대답하기를 

    “동굴 안을 끝까지 탐험한 사람은 없다. 하지만 평해군(平海郡)의 해변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말하기도 하는데, 그 거리는 대개 여기에서 20여 리쯤 된다.”라고 하였다.


    앞서 동굴 입구에서 옷에 훈김이 배고 더럽혀질까 걱정이 되어 동복(僮僕)의 의건(衣巾)을 빌려 입고 들어왔는데, 일단 동굴 밖으로 나와서 의복을 갈아입고는 세수하고 양치질을 하고 나니, 마치 화서(華胥)를 여행하는 꿈을 꾸다가 퍼뜩 잠에서 깬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조물(造物)의 묘한 솜씨는 헤아릴 수 없는 점이 많다고 내가 예전부터 생각해 왔는데, 이번에 국도(國島)와 이 동굴을 통해서 더욱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경치는 자연스럽게 변화해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인가, 아니면 처음부터 일부러 그렇게 만들어 놓은 것인가?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라면, 그 변화의 기틀이 어쩌면 이렇게까지 오묘할 수가 있단 말인가. 그리고 일부러 그렇게 만든 것이라면, 천세토록 만세토록 귀신이 공력을 쏟는다고 하더라도 어떻게 이렇게까지 최고의 작품을 만들어 낼 수가 있겠는가.

     이날 평해군에 도착하였다. 그런데 군에 이르기 전 5리 지점에 소나무 만 그루가 서 있고 그 가운데에 월송정(越松亭)이라는 이름의 정자가 있었는데, 이는 사선(四仙)이 유람하다가 우연히 이곳을 지나갔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진 것이라고 한다. 평해군은 강릉도(江陵道)의 남쪽 경계에 해당하는 곳이다. 강릉도는 북쪽의 철령(鐵嶺)에서부터 남쪽의 평해까지 대개 1200여 리의 지역을 관할하는데, 평해 이남은 경상도의 경내에 속한다. 이곳은 내가 일찍이 갔다가 온 일이 있기 때문에, 여기에는 기록하지 않는다.


    『稼亭先生文集』

     


    「東遊記」


    至正九年己丑之秋. 將遊金剛山. 十四日. 發松都. 二十一日. 踰天磨嶺宿山下長陽縣. 去山三十餘里. 蓐食登山. 雲霧晦冥. 縣人言遊楓岳者. 以雲霧故不見而還. 比比有之. 同遊皆有憂色. 默有禱焉. 距山五里許. 陰雲稍薄. 日光穿漏. 及登拜岾. 天朗氣淸. 山明如刮. 所謂一萬二千峯. 歷歷可數也. 凡入此山. 必由此岾. 登岾則見山. 見山則不覺稽顙. 故曰拜岾. 岾舊無屋. 累石爲臺. 以備憩息. 至正丁亥. 今資正院使姜公金剛奉天子之命. 來鑄大鍾. 閣而懸之于岾之上旁廬桑門. 以主撞擊. 屹然金碧. 光射雪山. 亦山門一壯觀也. 未午. 到表訓寺小憇. 有一沙彌導以登山. 沙彌言東有普德觀音窟. 人之隨喜必先於此. 然深且阻. 西北有正陽菴. 是我太祖所刱. 而安法起菩薩尊相之所. 雖陡高而稍近可上. 且登是菴則楓岳諸峯. 一覽而盡. 余謂觀音菩薩何所不住. 余所以來者. 盖欲觀此山之形勝耳. 盍先往乎. 於是攀緣而登. 果如所言. 甚愜來意. 欲往普德則日已向晚. 且不可留山中. 遂由新林, 三佛諸菴. 沿溪而下. 暮抵長安寺宿. 翌早出山. 自鐵原至山三百里. 則距京實五百餘里也. 然重江複嶺. 幽深險絶. 出入是山. 其亦艱哉. 甞聞此山名著佛經. 而聞于天下. 雖絶遠如乾笁之人. 時有來觀者. 大抵所見不如所聞. 東人遊西蜀峨眉, 南越補陁者有之. 皆言不如所聞. 余雖不見峨眉, 補陁. 所見此山. 實踰所聞. 雖畫師之巧. 詩人之能. 不可得其形容之髣髴也. 二十三日. 自長安寺度天磨西嶺. 又至通溝宿. 凡入山者由天磨二嶺. 登嶺則望山. 故踰嶺入山者. 初不以絶險爲虞. 自山而踰嶺. 然後知其爲艱也. 西嶺差低. 登降三十餘里. 陡甚謂之髮斷. 二十四日. 至淮陽府留一日. 二十六日. 踰鐵嶺關宿福靈縣. 鐵嶺. 國東之要害. 所謂一夫當關. 萬夫莫開者也. 故嶺以東江陵諸州. 謂之關東. 至元庚寅. 叛王乃顏之黨哈丹等賊. 奔北而東. 自開元諸郡闌入關東. 國家遣萬戶羅裕等. 領其軍防護鐵關. 賊劫掠和登以西諸州人民. 至登州. 使登人覘之. 羅公聞賊來. 棄關而走. 故賊如蹈無人之境. 一國洶洶. 人被其害. 登山城入海島以避其鋒. 至乞師天朝. 然後乃能殲之. 今余所見鐵關之險. 誠使一夫當之. 雖千萬人仰而攻之. 不可以歲月得入也. 羅公眞小膽哉. 二十七日. 到登州留二日. 今稱和州. 三十日. 早發和州. 自鶴浦口登舟入海觀國島. 島去岸十里許. 入自西南隅. 水際白沙如練. 其上平地五六畒. 形若半壁中有屋基. 人言浮圖者所居也. 其上山圍若玦. 勢不甚高. 蔓草覆之. 又無樹木. 視之一土坡也. 舟而小西. 崖岸稍異. 其崖石則皆方直. 櫛比而壁立. 其岸石則皆平圓排列. 一面可坐一人. 然不整齊也. 行數百步. 其崖高可數百尺. 其石白色方直. 長短若一. 每一條其頂. 各戴一小石. 若華表柱頭者. 仰面而視. 可竦可愕. 有一小窟. 撑舟而入. 漸窄不能容舟. 視其窟. 深不可測. 其左右束立之石. 如外面更整齊. 其上石脚下垂者. 皆平正如覆棋局. 若一鉅而斷之者. 以此觀之. 則非惟外面如此. 盡一島乃一束方石條也. 其窟嶄岩. 使人魂悸不可久留. 回舟而北. 又有一面如圍屛者. 捨舟而下. 徘徊攀緣. 大槩石與窟無異. 而崖不甚高. 其下稍平易. 其圓石排列者可坐千人. 遊觀者必憇息於此. 有人留飮. 慮其風作. 且非烟火食者所住. 傍崖而東南又行數百步. 崖石稍異. 作方鐵網. 盛水磨小圓石. 長五六十尺. 一條若一條. 一面皆是. 人謂鐵網石. 此其國島之大槩者也. 若夫奇絶恠異之狀. 非筆舌所可髣髴也. 誠不知造化者何以至于此極也. 旣還浦口. 擧酒相賀. 一以獲覩勝境. 一以風浪不作也. 自浦口棹舟而入所謂鶴浦者. 登元帥臺. 百頃澄湖. 一螺孤嶼. 亦一奇觀也. 旣晚不可留. 至縣館宿. 九月朔. 踰歙谷縣東嶺. 欲入穿島. 問其狀. 島有竇通南北. 風濤相透而已. 然自穿島絶海而南. 可往叢石亭. 其間八九里. 又自叢石絶海而南. 可往金蘭窟. 其間亦十餘里. 舟中勝景不可言也. 是日. 微有風不可舟. 故不入穿島. 沿海邊至叢石亭. 通州守沈君相侯於亭上. 所謂四仙峯者. 其石束立. 其條方直. 大槩如國島. 但其色黑. 其崖石亦參差不正耳. 自其上臨視之. 四峯離立峭拔. 斷崖嶔崟. 臨東溟萬里. 對西嶺千重. 宲關東壯觀也. 舊有碑在崖上. 今不見遺跌在耳. 又於東峯有古碣. 剝落磨滅. 無一字可識. 不知何代所立也. 人言新羅時有永郞述郞徒南四仙童者. 與其徒三千人遊於海上. 此碑碣豈其徒所立者耶. 亦不可得考也. 臨四仙峰有小亭. 置酒其上. 日已晚. 至通州宿. 通古金蘭縣. 故城北隅有石窟. 人言金蘭窟. 觀音菩薩所住之處. 明日. 乘舟並岸而入. 望見之微若菩薩形像立於窟中. 以其窟深且狹. 故不可入. 操舟者曰. 吾居於此久矣. 自元朝使華本國之卿士仗節剖符於方面者. 下至遊觀之人. 無問貴賤. 必欲來觀. 每令吾舟而導之. 吾實厭之. 甞操小刳木獨入窟中. 窮而後止. 別無所見. 以手捫之. 一面蘚石耳. 旣出而回視之. 則又髣髴其形像焉. 噫. 吾之誠有未至歟. 抑其思想所致. 若所謂思成者歟. 余聞之. 頗有頷焉. 窟東有石池. 人言觀音浴處. 又有岩石蔟蔟. 方寸其大. 多至數畒皆欹側. 人謂痛足岩. 盖觀音菩薩足踏而痛. 岩爲之欹側也. 自金蘭至林道縣宿. 初三日. 到高城郡. 由通州至高城. 一百五十餘里. 實楓岳之背. 其山嶄岩險絶. 人謂外山. 盖與內山爭奇恠. 其東南有楡岾寺. 寺有大鍾與五十三佛銅像. 人言新羅時五十三佛乘此鍾. 自西天竺泛海而來泊高城海岸. 旣又至楡岾而止焉. 高城南有憇房村. 宲山麓也. 由憇房陡上六十里而至楡岾. 余始與同遊之人約. 必至楡岾. 觀所謂鍾與佛像者. 行旣遠路且險. 馬皆瘡背病蹄. 或有落後者. 故不復登山. 初四日. 早起至三日浦. 浦在城北五里許. 登舟至西南小嶼. 窮窿一巨石也. 其頂有石龕. 龕中有石佛. 俗所謂彌勒堂也. 其崖東北面. 有六字丹書. 就視之則兩行行三字. 其文曰. 述郞徒南石行. 其述郞南石四字則明甚. 其下二字. 稀微不可識. 昔州人苦其供給遊賞者. 斲而去之. 深至五寸許. 字畫不滅. 今其二字不明者盖以是歟. 旣而回舟登四仙亭. 亦湖中一島也. 徙倚環視則所謂三十六峰影倒湖心. 湖可百頃. 澄深瀰漫. 宲關東勝境. 亞於國島者也. 時無郡守. 其州吏開小酌. 不可以獨飮. 命舟而出. 人言此湖爲四仙所遊. 三十六峯峯有碑. 胡宗旦皆取而沉之. 今其跌猶存焉. 胡宗旦者. 李昇唐之人也. 來仕本國. 出巡五道. 所至輒將碑碣. 或刮去其字. 或碎或沉. 至於鍾磬. 有名者皆鎔鉄以塞之. 使之不聲. 若於寒松, 叢石亭, 三日浦之碑. 鷄林府奉德之鍾之類. 可見也. 四仙亭. 朴君淑眞存撫時所置. 座主益齋先生爲之記. 自三日浦渡城南河. 過安昌縣亭宿明波驛. 初五日. 宿高城留一日. 初七日. 主人小酌仙遊潭上. 過淸澗驛. 登萬景臺小酌. 宿仁覺村舍. 初八日. 泛舟永郞湖. 日晚不得窮源. 到洛山寺謁白衣大士. 人言觀音菩薩所住. 山下石崖有竇. 是觀音所入處也. 晚至襄州宿. 明日重九. 又有雨擧菊觴於樓上. 十日. 宿洞山縣. 有觀瀾亭. 十一日. 宿連谷縣. 十二日. 江陵存撫使星山李君侯于鏡浦. 方舟歌舞中流. 日未西. 上鏡浦臺. 臺舊無屋. 近好事者爲亭其上. 有古仙石竈. 盖煎茶具也. 與三日浦相甲乙. 而明遠則過之. 以雨留一日. 出江城觀文殊堂. 人言文殊, 普賢二石像從地湧出者也. 東有四仙碑. 爲胡宗旦所沉. 唯龜跌在耳. 飮餞于寒松亭. 亭亦四仙所遊之地. 郡人厭其遊賞者多. 撤去屋. 松亦爲野火所燒. 惟石竈石池二石井在其旁. 亦四仙茶具也. 由亭而南. 有安仁驛. 日已西. 不可踰嶺. 遂留宿. 明日. 早發過驛. 東峯甚險. 至燈明寺觀日出臺. 遂並海而東. 憇于江村. 踰嶺宿羽溪縣. 十二日. 宿三陟縣. 明日. 登西樓. 縱觀所謂五十川八詠者. 出至交柯驛. 驛去縣治三十里. 於十五里臨海斷崖上有元帥臺. 亦絶景也. 小酌其上. 遂宿驛舍. 十八日. 宿沃原驛. 十九日. 到蔚珍留一日. 二十一日. 早發蔚珍. 縣南十里有聖留寺. 寺在石崖下長川上. 崖石壁立千尺. 壁有小竇. 謂之聖留窟. 窟深不可測. 又幽暗. 非燭不可入. 使寺僧執炬導之. 又使州人之慣出入者先後之. 竇口狹. 膝行四五步. 稍闊起行. 又數步則有斷崖可三丈. 梯而下之. 漸平易高闊. 行數十步. 有平地可數畒. 左右石狀殊異. 又行十許步有竇. 比竇口益隘. 蒲伏而行. 其下泥水. 鋪席以防霑濕. 行七八步稍開闊. 左右石益殊異. 或若幢幡. 或若浮圖. 又行十數步. 其石益寄恠. 其狀益多不可識. 其若幢幡浮圖者益長廣高大. 又行四五步. 有若佛像者. 有高僧者. 又有池水淸甚. 闊可數畒. 中有二石. 一似車轂. 一似淨缾. 其上及旁所垂幡盖. 皆五色燦爛. 始意石乳所凝. 未甚堅硬. 以杖叩之各有聲. 隨其長短而有淸濁若編磬者. 人言若沿池而入則益奇恠. 余以爲此非世俗所可䙝玩者. 趣以出. 其兩旁多穴. 人有誤入則不可出. 問其人窟深幾何. 對以無人窮其原者. 或云可達平海郡海濱. 盖距此二十餘里也. 初慮其熏且汙. 借僮僕衣巾以入. 旣出. 易服洗盥. 若夢遊華胥. 蘧然而覺者. 甞試思之. 造物之妙. 多不可測. 余於國島及是窟益見之. 其自然而成耶. 抑故爲之耶. 以爲自然則何其機變之巧如是之極耶. 以爲故爲之則雖鬼工神力窮千萬世. 而亦何以至此極耶. 是日到平海郡. 未至郡五里. 有松萬株. 其中有亭曰越松. 四仙之遊偶過於此. 故名焉. 平海郡者. 江陵道之南界也. 北自鐵嶺. 南盡平海. 盖一千二百餘里也. 平海以南則慶尙道之界. 予甞所往還者. 玆不錄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