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2. 고지도를 통해 본 동해신묘 (1)

    페이지 정보

    조회 613회

    본문

    해동지도를 비롯하여 각종 고지도에서 東海神廟를 확인할 수 있다.

     

    [표] 각종 고지도에 표기된 東海神廟

    o1.jpg

     

    위에서 소개한 고지도를 통해 東海神廟의 위치와 그 형태를 확인할 수 있다.

    위치는 양양도호부 동쪽 바닷가에 위치하며, 낙산사 아래에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현재 복원된 東海神廟 또한 이 위치에 있다.

    그리고 고지도에는 제당의 명칭을 ‘東海廟’ 또는 ‘東海神廟’, ‘東海神坮’라 하여 동해신을 모신 제의 공간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여지도서를 비롯하여 각종 기록에는 정전(正 殿) 6칸, 신문(神門) 3칸, 전사청(奠祀廳) 2칸, 동서재(東西齋) 각 2칸, 백천문(百川門) 1칸으로 구성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고지도 중 여지도서에 수록된 고지도와 1872년에 제작된 양양도호부 지도에는 전체적인 양상을 보여즈고 있지 않으나, 기록에 소개된 건물 배치를 비교적 잘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 東海神廟의 위치와 건물 배치 등을 실증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조선후기에도 이와 같은 형태가 잘 유지되었음을 알 수 있다.

    위의 표에서 소개한 고지도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026-2.jpg

     

    그림 1. 여지도서 양양도호부 지도에서 동해묘

     

     

    026-3.jpg

     

    그림 2. 해동지도 양양도호부애서 동해묘

     

     

    027-2.jpg

     

    그림 3. 광여도 양양도호부에 표기된 동해묘

     

     

    027-3.jpg

     

    그림 4. 청구도 양양도호부에 표기된 동해신단

     

     

    028-2.jpg

     

    그림 5. 1872년 양양도호부 지도에 표기된 동해묘

     

     

    028-3.jpg

     

    그림 6. 청구요람 양양도호부 지도에 표기된 동해신대

     

     

    동해신묘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돕기 위해 고지도에 표기된 남해와 서해에 각각 설치되었던 南海堂과 西海神壇[西海神廟]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 각종 고지도에 표기된 南海堂

    o2.jpg

     

     

    [표] 각종 고지도에 표기된 西海壇

    o3.jpg

     

    위에서 소개한 고지도를 통해 南海堂과 西海神壇[西海神廟]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남해당은 나주목(후에 영암군에 속함)에 속하여 남해에서 내륙으로 진입하는 뱃길을 내려다 볼 수 있는 곳에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당의 명칭을 ‘南海堂’이라 하여 남해신을 모신 제의 공간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西海神壇[西海神廟]은 풍천부에 속하여 서해에서 내륙으로 진입하는 업청강 뱃길을 내려다볼 수 있는 곳에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당의 명칭을 ‘西海神壇’ 또는 ‘西海神 廟’, ‘西海壇’이라 하여 서해신을 모신 제의 공간임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