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동해신묘의 정체성과 복원에 대한 학술대회

    2. 동해신묘제 (1)

    페이지 정보

    조회 577회

    본문

    매년 정월 초하루 해맞이 행사를 하는 중에 東海神을 모시는 `동해신묘제'를 양양군수가 주관하여 지낸다. 이와 함께 여름 해수욕장을 개장하는 시기에 맞춰 '여름해변 운영 용왕제' 를 동해신묘 앞 조산리 해변에서 지내는 것으로 동해신묘에서 동해신에게 제사 지낸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양양에 설치되었던 국가 제장인 東海神祠에서 모셨던 主神은 제당 명칭에 나타나듯이 ‘東海神’이다. 동해에 좌정한 해신을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龍을 海神으로 비정할 수도 있다. 이에 ‘東海廣德龍王神’을 모셔서 東海神廟祭를 지낼 수 있으나, 고려와 조선시대의 동해신묘 관련 각종 기록을 종합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신령 명칭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필요하다.

    東海神廟祭 홀기를 보면 제의 명칭을 ‘東海廣德龍王神 祭禮’라 적었다. 이에 공식 명칭이

    ‘東海廣德龍王神 祭禮’이며, 이를 줄여서 ‘東海神廟祭’라 하였음을 알 수 있다.

     

     

    035-2.jpg

     

    그림 18. 홀기 중 제례 명칭

     

     

    2019년 ‘東海廣德龍王神 祭禮’를 주관한 제관과 집례자 명단을 적은 분방기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東海神廟祭 獻官及諸執事分榜

     

    維 

    檀君紀元 四千三百五十二年 歲次 己亥

     

    陽 一月 一日 戊戌 

    東海神廟祭 獻官及諸執事分榜

     

    初獻官 襄陽郡守 金振夏

    亞獻官 襄陽郡議會議長 高濟喆

    終獻官 襄陽文化院長 尹汝俊

    執禮 襄陽鄕校 掌議 崔燉均

    大祝 襄陽鄕校 掌議 李興洙

    謁者 襄陽鄕校 掌議 盧利俊

    贊引 襄陽鄕校 掌議 崔善俊

    奉香 襄陽鄕校 掌議 金相基 

    烽爐 襄陽鄕校 掌議 李常均 

    奉爵 襄陽鄕校 掌議 韓德福 

    奠爵 襄陽鄕校 掌議 金準植 

    典祀官 襄陽鄕校 掌議 鄭相敎

     

     

    036-2.jpg

     

    그림 19. 東海神廟祭 獻官及諸執事分榜(2019년)

     

     

    ‘東海廣德龍王神 祭禮’는 홀기에 의해 진행되었는데, 獻官及 諸執事 以下 俱就位, 降神禮, 參神禮, 初獻禮, 亞獻禮, 終獻禮, 飮福禮, 辭神禮, 望燎禮 순서로 진행되었다. 구체적인 순서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 獻官及 諸執事 以下 俱就位

    ◎ 謁者引 初獻官詣 ◎ 點視 ◎ 引降服位 ◎ 撰引引 祝及 諸執事 詣 盥洗位

    ◎ 盥手 帨手 ◎ 入就 階間拜位 ◎ 四拜 ◎ 鞠躬 ◎ 拜興 ②③④ ◎ 平身 各就位

    ◎ 設 香爐香盒 ◎ 謁者引 獻官 俱就拜位 ◎ 謁者陣 初獻官 之左 白有司 謹具請 行事

     

    ◇ 行 降神禮

    ◎ 謁者引 初獻官 詣 盥洗位 ◎ 搢笏 ◎ 盥手 悅手 ◎ 執笏 ◎ 引詣神位前 ◎ 跪

    ◎ 搢笏 ◎ 三上香 ◎ 執笏 ◎ 俯伏 ◎ 興 平身 ◎ 引降復位 ◇ 行 參神禮

    ◎ 獻官以下階 四拜 ◎ 參禮員 一同은 默禮입니다. ◎ 鞠躬 ◎ 拜興 ②③④ ◎ 平身

     

    ◇ 行 初獻禮

    ◎ 謁者引 初獻官詣神位前 跪 ◎ 搢笏 ◎ 酌酒 ◎ 執爵 獻爵 ◎ 執笏 ◎ 俯伏

    ◎ 興 小退 跪 ◎ 諸位者皆 參禮員一同 俯伏 ◎ 祝進 獻官之左東向 跪 ◎ 讀祝

    ◎ 俯伏 ◎ 興 平身 ◎ 引降復位

     

    ◇ 行 亞獻禮

    ◎ 贊引引 亞獻官詣 盥洗位 ◎ 搢笏 ◎ 盥手 帨手 ◎ 執笏 ◎ 引詣 神位前 跪

    ◎ 搢笏 ◎ 酌酒 執爵 ◎ 獻爵 ◎ 執笏 ◎ 俯伏 ◎ 興平身 ◎ 引降復位

     

    ◇ 行 終獻禮

    ◎ 贊引引 終獻官詣 盥洗位 ◎ 搢笏 ◎ 盥手 帨手 ◎ 執笏 ◎ 引詣 神位前 跪

    ◎ 搢笏 ◎ 酌酒 執爵 ◎ 獻爵 ◎ 執笏 ◎ 俯伏 ◎ 興 平身 ◎ 引降復位

     

    ◇ 行 飮福禮

    ◎ 謁者引 初獻官詣 飮福位 西向跪 ◎ 搢笏 ◎ 祝以爵授獻官 ◎ 獻官受爵

    ◎ 飮啐爵 ◎ 以爵授 祝 復於坫上 ◎ 祝以胙授胙授 ◎ 獻官受胙

    ◎ 以胙授 祝 置東門內 ◎ 獻官 興 ◎ 引降復位

     

    ◇ 行 辭神禮

    ◎ 獻官以下 皆 四拜 ◎ 參禮員一同 默禮 ◎ 鞠躬 ◎ 拜興 ②③④ ◎ 平身

     

    ◇ 行 望燎禮

    ◎ 謁者引 初獻官詣 焚祝位 北向立 ◎ 祝以 匪取 ◎ 祝 降自西階 ◎ 置於坎

    ◎ 焚祝 ◎ 引降復位 ◎ 謁者引 初獻官 之左白 禮畢

    ◎ 獻官以下 出

    ◎ 祝及諸執事 階間配位 四拜 ◎ 鞠躬 ◎ 拜興 拜興 拜興 拜興 ◎ 平身 ◎ 以 次出

     

    이상으로 제례를 모두 마치겠습니다.

    세분 헌관, 참례원 그리고 집사 여러분 수고했습니다. 감사합니다.

     

     

    037-2.jpg

     

    그림 20. 동해신묘제 홀기

     

     

    038-2.jpg

     

    그림 21. 謁者引 初獻官詣

     

     

    038-3.jpg

     

    그림 22. 降神禮 三上香

     

     

    038-4.jpg

     

    그림 23. 初獻禮 중 초헌관이 술을 올림

     

     

    038-5.jpg

     

    그림 24. 初獻禮 중 축관이 축문을 읽음

     

     

    038-6.jpg

     

    그림 25. 亞獻禮 중 아헌관이 술을 올림

     

     

    038-7.jpg

     

    그림 26. 終獻禮 중 종헌관이 올린 술을 집사가 제단에 올림

     

     

    039-2.jpg

     

    그림 27. 飮福禮에서 초헌관이 음복하는 장면

     

     

    039-3.jpg

     

    그림 28. 辭神禮에서 제관과 집사들이 절을 하는 장면

     

     

    039-4.jpg

     

    그림 29. 望燎禮에서 초헌관 焚祝 장면

     

     

    039-5.jpg

     

    그림 30. 禮畢 후 처음 대기하였던 자리로 돌아오는 집사들

     

     

    039-6.jpg

     

    그림 31. 동해신묘제를 마친 후 참여자들이 함께 음복하는 장면

     

     

    동해를 비롯하여 남해와 서해에서 중사로 설행하였던 의식 절차는 『국조오례의』 길레 중 ‘嶽海瀆祭에 관한 의식’ 항목에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 실린 의식 절차는 큰 틀에서 時日, 齋戒, 陳設(안팎을 소제, 饌幔 설치, 신좌 설치[廟는 제외], 헌관 위치 설정, 음복위ㆍ집사자ㆍ 문외위ㆍ망예위ㆍ축판ㆍ진폐위ㆍ향로와 향합ㆍ복주자와 조육조ㆍ세위 등의 설치 점검), 牲器 를 살핌, 行禮(점검, 복장 갖춤, 각자 위치에 선다, 4배, 관세위, 작세위로 나아가 잔 씻어 준소로 이동, 4배, 전폐례[삼상향, 헌폐례], 초헌례, 아헌례, 종헌례, 음복례, 망예, 예필, 원래 자리로 돌아옴) 순서로 진행한다.

    그런데, 2019년에 설행한 의례와 비교해 보면 헌폐례가 없고, 각 절차별 집사와 제관의 위치 등에 차이가 있는 등 절차상의 다름이 다수 발견된다. 이에 『국조오례의』에 정리된 내용을 바탕으로 의례 과정을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