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2020 어성십경창화시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2020 어성십경창화시

    어성십경창화시(漁城十景唱和詩) 해제

    페이지 정보

    조회 1,407회

    본문

    어성십경창화시(漁城十景唱和詩) 해제

     


      『어성십경창화시(漁城十景唱和詩)』의 제작 년대는 참여 인물과 내용을 고찰해 보면 1917년 4월에용주(龍洲) 이용선(李容璇)이 시집을 완성하고, 1918년 2월에 지역 유지인 최영택에게 서문을 받았고, 1920년 10월에 발간하였다.

      이 시집(詩集)의 체제는 아래와 같이 12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 漁城十景總題: 어성 10경을 함께 쓰다.

      2. 雲門泉石: 운문(雲門)의 샘과 바위

      3. 烏峴烟樹: 오현(烏峴)의 안개 낀 나무

      4. 花嶝落照: 화등산(花嶝山)의 낙조

      5. 銀潭瀑布: 은담폭포

      6. 爐峰明月: 향로봉의 밝은 달

      7. 龍沼鳴灘: 용소에 우는 여울

      8. 高積浮雲: 고적치(高積峙)의 뜬구름

      9. 柰川游魚: 내천에 노니는 물고기

      10. 山庵暮鍾: 산 암자에 저녁 종소리

      11. 帽巖漁笛: 모암(帽巖, 관모암)의 어부 피리 소리

      12. 追錄: 덧붙여 쓰다.


      1장은 어성 십경을 종합적으로 읊은 것이고, 2장부터 11장까지가 10경이다. 12장은 빠진 사람들의 시를 나중에 덧붙인 것으로 사료 된다.


      이 시집이 만들어짐에 있어서, 많은 사람이 직접 10경을 답사한 후에 시를 지었을 수도 있지만, 최영택의 시에 보면,“ 그 속에 기이한 경치을 알고자 하니[欲識箇中奇絶景], 10폭 그림이 생생하게 둘러싸고 있구나[環屛十幅畵圖生].”라고 한 것을 보면,〈 어성십경도(漁城十景圖)〉가 존재했었고, 어느 일정한 장소에 모여 그것을 보고 시를 짓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들기고 한다.


      이 시집에 실린 시는 대부분 7언 율시이다. 이는 여타 다른 시집에서 보기 힘든 경우이다. 시의 운자를 같이하더라도 5언으로 충분히 시를 지을 수 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이 시집의 구성원들 대부분은 아마도 서당의 훈장이었던 이용선(李容璇)의 제자들이었고, 작시(作詩) 공부에 가장 모범인 7언 율시를 대상으로 시를 짓도록 한 것이 아닌가 하는 추측을 하게 된다. 그런데도 이 시집에 있어서 예외는 있다. 오직 동명(東溟) 이상섭(李相燮)만은 7언 또는 율시라는 체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시를 구사하고 있다.

     

    어성십경창화시-해제.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