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전체검색 닫기
양양문화원
HOME 문화원소식
  • 자료실
  • 양양문화31호
  • 자료실

    정명 6백년 미래를 잇는 양양문화원

    양양문화31호

    양양문화31호 목록
      襄陽文化 제31호 襄陽文化院
      양양문화원 정기 총회문화학교 개강식 4.4 만세운동 재현 행사 제41회 양양문화제 만세운동재현행사 제41회 양양문화제 읍면농악 경연대회 제9회 전국동구리전통민요 경창대회 문화원회원 및 수강생 유적지답사 제24회 강원도사물놀이 경연대회 참가강원문화대축전 참가 제2…
      목차Contents발간사 | 양양문화원장 윤여준 ------- 9신년사 | 양양군수 김진하 ------- 12신년사 | 양양군의회 의장 고제철 ------- 14향토사료● 중국전승 양양팔경가의 전파와 정착 ------- 16향토문화교육● <특강�…
      양 양 문 화 원 장윤 여 준 “2020년 경자년 황금빛 태양이 솟았습니다.” 존경하는 군민여러분과 문화가족 여러분! 안녕하십니까?지난 한해도 여러분들께서 많은 성원을 보내주심에 머리 숙여 고마움과 감사함을 전합니다. 그리고 1년 동안 문화원의…
      양 양 군 수김 진 하 존경하는 군민 여러분! 새로운 희망과 기대속에 2020년 경자년(庚子年) 새해 아침이 밝았습니다.새해에는 군민 모두가 활력이 넘치고, 가정마다 건강과 행복이 늘 가득하시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군정에 아낌없는 관심과 성원을…
      양양군의회 의장고 제 철 안녕하십니까! 양양군의회의장고제철입니다. 양양군 향토문화의 명맥을 이어주는「양양문화」제31호 발간을 축하드리고, 양양문화원 윤여준 원장님을 비롯한 관계자 분들의 변함없는 열정에도 항상 감사드립니다. 존경하는 양양군민 여러분!…
      [향토사료]중국 전승 양양팔경가의 전파와 정착양양팔경가는 양양에서 전승된 신민요다.이 민요는 발 없는 말처럼 흔적 없이 국경도 넘고 사상이나 이념을 초월하여 멀리 중국 땅 조선족 사회에 존재하고 있다. 1930년대 양양에서 불린 양양팔경가는 설악산 사진과 함께 현…
      향토문화교육『선비전주이씨행장』으로 본 여성의 생활상 / 이규대 명예교수16세기 명작 “호송설(護松說)”의 감동 / 이규대 명예교수양양의 문화유적 진전사(陣田寺)와 삼층석탑 / 이철수 소장 양양의 선사문화 / 이철수 소장
      [향토문화학교]제1차 향토문화교육(11월 23일)『선비전주이씨행장』으로 본 여성의 생활상강릉원주대학교|이규대 명예교수서론조선시대 여성생활사는 특성상 가족제도의 특질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다. 16세기 가족제도의 특질은 사회구조의 변화와 관련하여 일찍부터 주목되…
      [향토문화교육]제2차 향토문화교육(12월 5일)16세기 명작 “호송설(護松說)”의 감동강릉원주대학교|이규대 명예교수1569년은 선조 임금이 왕위에 오른 지 2년이 되는 해이다. 이 해 어느 날 강릉지방의 양반가에서는 솔향(松香)이 짙게 배어나는 차상(茶床)을 앞에…
      [향토문화교육]양양의 문화유적 진전사(陣田寺)와 삼층석탑양양문화원부설 향토사연구소|이철수 소장▶ 장소 : 양양군 강현면 둔전리 100-5번지.(물치에서서쪽7km)▶ 문화재 : 강원도 기념물 52호. 국보 제 122호. 보물 제 39호 1. 조계종의 宗刹陣田寺(종찰…
      [향토문화교육]양양의 선사문화양문화원부설 향토사연구소|이철수 소장1. 자연적 배경영동지방 중북부에 위치하는 양양지역은 동쪽은 동해, 서쪽은 태백산맥이 가로막혀 있다. 오대산 두류봉이 발원지인 남대천은 현북면 법수치리와 어성전리를 지나 양양의 중심부를 흘러 동해로 …
      2019 문화학교 소개2019년도 문화학교 소개 및 학생 수상, 공연 내역2019 천재 음악가 허억봉 선양사업 대금반
      2019 문화학교 소개<문화학교 / 교실별 / 수료자>한시교실 / 이종우 / 17서예교실(한문) / 함연호 / 24서예교실(한글) / 김광희 / 19한국화교실 / 조정승 / 17민요교실 / 이건남 / 19통기타교실 / 강명근 / 21사…
      [2019 문화학교 소개]2019 양양출신 조선 천재 음악가 허억봉선양사업 대금반1.‘허억봉’은 조선 후기에 퉁소와 대금 연주자로 당시 장악원(지금의 국립국악원) 총책임자인 전악까지 오른 천재 음악가로, 악인들이 악기를 연습할 수 있도록‘금합자보’라는 악보 제작에…

    검색